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58
한자 內藏洞
영어공식명칭 Naejang-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내장면 내장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83년 2월 15일 - 전라북도 정읍군 내장면 내장리에서 전라북도 정주시 내장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주시 내장동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면적 15.62㎢
가구수 178가구
인구[남/여] 308명[남 163명|여 145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내장동(內藏洞)의 이름은 내장산(內藏山)에서 따온 것이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정읍현(井邑縣) 동면(東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회룡리, 저동리, 호항리, 용하리, 비룡리, 동구리, 부여리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내장면 내장리로 개설되었다. 1983년 2월 15일 행정 구역 조정에 따라 내장면에서 정주시로 편입되어 전라북도 정주시 내장동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읍군정주시가 정읍시로 통합되면저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이 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내장동내장산국립공원을 포함하고 있어 대부분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내장저수지를 일부 포함하는 입구에서부터 내장산로를 따라 관광 시설들이 들어서 있다. 내장산은 서래봉, 불출봉, 연자봉, 장군봉 등 높이 600m가 넘는 봉우리들을 잇는 등산로와 쉼터 등이 정비되어 있으며, 산이 높고 골짜기가 깊어서 내장사를 비롯한 백련암과 원적암 등의 고찰들이 있다.

[현황]

2023년 현재 내장동의 면적은 15.62㎢이며, 인구는 178가구, 308명[남자 163명, 여자 145명]이다. 내장동은 동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쌍치면 신성리, 서쪽으로 신정동, 쌍암동, 남쪽으로 순창군 복흥면 화양리, 서마리, 북쪽으로 쌍암동과 접하고 있다. 내장동의 행정동은 내장상동(內藏上洞)이다.

내장동은 대부분 관광지라서 이와 관련된 내장산단풍생태공원, 장승공원, 정읍학생수련원, 내장야영장을 비롯한 편의 시설들이 대부분이다. 내장저수지는 단풍으로 유명한 내장산국립공원 입구에 있으며, 내장산단풍생태공원과 접하고 있다. 내장저수지를 끼고 산책길이 정비되어 있으며, 인근에 내장산조각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등 볼거리와 쉼터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