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15
한자 泰仁鄕校萬化樓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향교2길 45[태성리 182-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선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421년 - 태인향교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6년 - 태인향교만화루 번와 공사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4년 - 태인향교만화루 해체 보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9월 8일연표보기 - 태인향교만화루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1호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2000년 - 태인향교만화루 계자난간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 태인향교만화루 정밀 실측 조사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태인향교만화루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태인향교만화루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태인향교만화루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현 소재지 태인향교만화루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향교2길 45[태성리 182-1]지도보기
성격 누각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향교재단
관리자 태인향교전교
문화재 지정 번호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에 있는 태인향교의 문루.

[개설]

태인향교만화루(泰仁鄕校萬化樓)태인향교의 정문에 해당하는 누각이다. 일반적으로 향교의 누문을 ‘만화루’라고 하는데 ‘공자지도 만물화생(孔子之道 萬物化生)’ 즉, ‘공자의 도로 만물이 교화된다‘라는 의미이다. 태인향교만화루의 창건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현판은 1794년(정조 18) 태인현감이었던 조항진이 쓴 것이다. 태인향교만화루는 1986년 9월 8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위치]

태인향교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향교2길 45[태성리 182-1]에 있다. 태인동헌에서 직선거리로 서쪽 약 500m 지점인 성황산[태인면]의 남서쪽 기슭에 있다. 주변 지역은 조선 시대 태인현의 읍치가 있었던 곳으로 태인동헌, 정읍 피향정, 태인 김부곤가옥 등이 있다.

[변천]

태인향교만화루의 창건 연대는 불분명하나 규장각 소장 『비변사인방안지도』『해동지도』 등에 만화루가 그려져 있어 적어도 18세기 중반에는 건립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936년 간행된 『정읍군지』에 실린 사진을 보면 난간이 평난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태인지』에 실린 1951년 사진을 보면 2층에 전체적으로 창호를 설치하는 등 변화된 모습이 확인된다. 1976년 기와를 교체하였으며, 1984년 해체 보수 공사가 이루어졌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기와를 교체하고 기단을 보수하였으며, 2000년 계자난간을 설치하였다. 2012년 태인향교만화루 정밀 실측 조사가 이루어졌다.

[형태]

태인향교만화루는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2층 누각이다. 다른 향교의 만화루는 보통 정면이 3칸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태인향교만화루는 특이하게 4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층은 가운데 2칸에 출입문을 달아 통로로 사용하며 좌우칸에는 판벽을 설치하였다. 위층은 오른쪽 계단을 통하여 오를 수 있으며 주변의 경치를 감상하는 등 휴식을 위한 공간이다. 기단은 한 단으로 낮게 조성하였으며, 커다란 자연석 주춧돌 위에 원기둥을 세웠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성을 지닌 공포는 초익공 형식으로 조각 수법이 우수한 편이다. 가구 구조는 도리 5개를 사용한 심주 5량 형식이다. 대들보는 하나의 부재가 아닌 2개의 부재를 맞보 형식으로 걸고 하부 중앙에 심주를 세워 받쳤다. 대들보 위에는 동자주를 세워 종보를 걸고, 종보 위에 초각한 판대공을 놓아 종도리를 받는 구조이다. 대들보와 직각 방향으로는 충량을 걸었는데 청룡과 황룡으로 조각하여 장식성을 높였다. 지붕은 앞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며, 처마는 서까래와 부연을 함께 사용한 겹처마로 구성하였다.

[현황]

태인향교는 맨 앞에 정문에 해당하는 만화루가 있으며 만화루, 명륜당, 내삼문, 대성전이 축을 약간 달리하여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명륜당 영역은 공부를 위한 공간이고, 대성전 영역은 선현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대성전과 명륜당 사이 서쪽 영역에는 현재의 기숙사에 해당하는 장수재가 담장으로 별도의 영역을 이루고 있다. 장수재 앞에는 고직사가 있었으나 2011년 철거되었다.

[의의와 평가]

태인향교만화루는 평면과 구조가 독특하며 조선 후기 건축 수법을 잘 보여 주는 건물로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