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25
한자 殷鎭夏 鐵碑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주정2길 38[고교리 335-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박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846년 - 은진하 출생
건립 시기/일시 1913년연표보기 - 은진하 철비 건립
현 소재지 은진하 철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주정2길 38[고교리 335-1]지도보기
성격 비석
관련 인물 은진하
재질
크기(높이, 너비, 두께) 160㎝[높이]|30㎝[너비]|2㎝[두께]
소유자 주정마을
관리자 주정마을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고교리에 있는 은진하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일제 강점기 비석.

[개설]

은진하 철비(殷鎭夏 鐵碑)는 1913년 은진하(殷鎭夏)[1846~?]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고교리 주정마을에 세운 철로 만든 불망비이다. 은진하는 본관이 행주(幸州)이다. 대학사 은홍설(殷洪說)의 34세손, 처사 은원충(殷元忠)의 27세손, 이조판서 은여림(殷汝霖)의 17세손, 판관 은보(殷輔)의 16세손, 현감 은명부(殷命傅)의 14세손, 참봉 은서(殷庶)의 13세손, 판관 은몽량(殷夢良)의 6세손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사복시정에 증직된 은상필(殷相弼), 할아버지는 승지에 증직된 은원팔(殷元八), 아버지는 호조참판에 증직된 은득언(殷得彥)이다. 은진하고부군의 장의(掌議)를 10여 년 동안 하였으며, 향교의 중건에도 참여하였다. 관직은 돈령부도정을 역임하였다. 빈민구제의 공로로 조선총독 목배를 수령하였다[『조선총독부관보(朝鮮總督府官報)』, 1913년 1월 31일]. 1916년 『존성출의계안(尊聖出義稧案)』 1책을 출간하였다.

[건립 경위]

은진하 철비는 1913년(대정 2)에 은진하가 성포면(聲浦面) 사람들이 호세(戶稅)[이전에 살림살이를 하는 집을 표준으로 하여 집집마다 징수하는 지방세]를 대신해서 납부하여 준 것을 잊지 않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위치]

은진하 철비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주정2길 38[고교리 335-1] 주정마을회관 옆에 있다.

[형태]

은진하 철비는 화강암으로 난간을 두르고, 바닥도 화강암으로 처리하였다. 바닥 위에 2단의 기단을 만들었다. 2층 기단에는 비석을 만들게 된 경유를 간단하게 설명하였다. 기단 위에 비석을 세웠다. 비석은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명문이 있다. 뚜껑돌에 해당되는 상단부에는 연꽃을 새겨 놓았으며, 연꽃의 아래에는 연주문(連珠文)이 보인다. 명문은 양각으로 되어 있다. 은진하 철비는 높이 160㎝, 너비 30㎝, 두께 2㎝이다.

[금석문]

은진하 철비 정면에는 ‘전도정은공진하 호세연보 불망비(前都正殷公鎭夏 戶稅捐補 不忘碑)’라고 새겨져 있다. 후면에는 ‘대정이년계축구월일 성포면립(大正二年癸丑九月日 聲浦面立)’이라고 새겨져 있다.

[현황]

은진하 철비는 원래 개인 집 뜰에 있었으나, 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의의와 평가]

은진하 철비는 선정을 베푼 은진하의 공을 살필 수 있는 유적이며, 철로 만든 비석이라는 점에서 희귀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