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56
한자 泰西里 順川 朴氏家 旌閭
이칭/별칭 박문효 처 진천 송씨 정려,박태운처 태산 허씨 정려,박해풍 처 경주 이씨 정려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서재길 13[태서리 90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17년연표보기 - 박문효 처 진천 송씨 정려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66년연표보기 - 박태운 처 태산 허씨 정려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34년연표보기 - 박해풍 처 경주 이씨 정려 건립
현 소재지 태서리 순천 박씨가 정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서재길 13[태서리 909]지도보기
성격 정려각|석정려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1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순천 박씨 문중
관리자 순천 박씨 문중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서리 서현사 안에 있는 순천 박씨 가문의 정려.

[개설]

태서리 순천 박씨가 정려(泰西里 順川 朴氏家 旌閭)는 1817년 박문효(朴文孝)[1568~1593]의 아내 진천 송씨[?~1593], 1866년 박태운(朴泰運)[1721~1751]의 아내 태산 허씨, 1934년 박해풍(朴海豊)[1891~1910]의 아내 경주 이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려이다. 진천 송씨의 아버지는 진사 송만필(宋萬弼)이다. 박문효는 본관이 순천(順川), 자는 백원(百源)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박석명(朴錫命), 증조할아버지는 박거소(朴去疎), 할아버지는 중종반정을 주도한 박원종(朴元宗), 아버지는 박운(朴雲)이다. 외할아버지는 평산 신씨 진사 신후(申垕)이다. 박문효는 음직으로 종묘서직장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를 따라 의주까지 갔다가, 다음 해 서울로 돌아오다가 개성 송악산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하였다. 소식을 들은 진천 송씨는 아들 박충기(朴忠器)를 몸종에게 맡기고 순절하였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져 1817년(순조 17) 박문효와 함께 정려가 내려졌다. 아들 박충기 대부터 순천 박씨가 정읍에 거주하게 되었다. 순천 박씨의 묘소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에 있다. 박문효의 정려는 정읍시 이평면 오금리 양지마을에 있고 1819년 서현사(西峴祠)를 세워 향사하였다.

태산 허씨[?~1751]의 아버지는 동몽교관 허승만(許承萬)이다. 태산 허씨는 박태운이 사망하자 따라 죽었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져 1806년(순조 6, 병인) 정려가 내려졌다. 태산 허씨의 묘소는 정읍시 북면에 있다. 경주 이씨는 이제현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이집상(李集翔), 아버지는 이일영(李日榮)이다. 열행이 뛰어나 행적이 『호남지』에 실려 있다. 박태운은 본관이 순천, 자는 성경(聖卿)이다. 충신 박문효의 후손이며, 증조할아버지는 박예호(朴禮浩), 할아버지는 박사의(朴師義), 아버지는 박상진(朴尙眞)이다. 외할아버지는 전주 최씨 최만필(崔萬弼)이다. 묘소는 정읍시 북면에 있다. 아들은 박시언(朴始彦), 박시인(朴始寅), 박시구(朴始龜)이다. 박해풍은 본관이 순천, 자는 세화(歲和)이다. 정국공신 박원종의 후손이며, 증조는 박광악(朴光岳), 할아버지는 박기행(朴基行), 아버지는 박윤식(朴潤植)이다. 외할아버지는 해주 오씨 오희백(吳禧伯)이다. 장인은 경주 이씨 이제현의 후손인 이일영(李日榮)이다. 아들은 박재동(朴載東)이다.

[위치]

태서리 순천 박씨가 정려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서재길 13[태서리 909] 서현사지 안에 있다.

[변천]

1817년 박문효의 아내 진천 송씨의 정려가 건립되었고, 1866년 박태운의 아내 태산 허씨를 기리는 정려가 건립되었으며, 1934년 박해풍의 아내 경주 이씨를 기리는 석정려가 건립되었다.

[형태]

서현사지 안에는 2개의 정려와 1개의 석정려가 있다. 2개의 정려 중 왼쪽에는 태산 허씨의 정려, 중앙에는 진천 송씨의 정려, 오른쪽에는 경주 이씨의 석정려가 있다. 태산 허씨의 정려는 마당 위에 1단을 높여 대지를 만들고, 화강암을 원형으로 깎아 기초석을 세우고 위에 기둥을 올렸다. 정면 1칸, 측면 1칸,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안에 있는 현판에는 ‘열녀 학생 박태운 처 태산 허씨지려 성상육년병인삼월일 특명정려(烈女 學生 朴泰運 妻 泰山 許氏之閭 聖上六年丙寅三月日 特命旌閭)’라고 쓰여 있다. 진천 송씨의 정려는 마당에서 1단을 올려 대지를 조성하고, 화강암을 원형으로 만들어 기초를 만들고 기둥을 올렸다. 정면 1칸, 측면 1칸, 팔작지붕이다. 중앙에 현판이 있으며, 현판에는 ‘열녀 증통정대부 이조참의 행중직대부 종묘서직장 박문효 처 증숙부인 진천 송씨지문 성상병자십이월일 명정려(烈女 贈通政大夫 吏曹參義 行中直大夫 宗廟署直長 朴文孝 妻 贈淑夫人 鎭川 宋氏之門 聖上丙子十二月日 命旌閭)’라고 쓰여 있다. 후면 벽에 「충신고직장박공열부송씨정려기(忠臣故直長朴公烈婦宋氏旌閭記)」가 있다. 현판기는 1829년 풍양(豊壤) 조종영(趙鍾永)이 썼다.

경주 이씨의 석정려는 마당에서 1단을 올려 대지를 조성하고, 화강암으로 된 기초를 세우고 위에 4개의 돌기둥을 올렸으며, 기둥 위에 지붕 모양의 뚜껑돌을 올렸다. 중앙에 비석을 세웠고, 비석은 높이는 100㎝, 폭 38㎝, 두께 15㎝이다. 비석의 정면에는 ‘열부 경주 이씨지비(烈婦 慶州 李氏之碑)’라고 쓰여 있으며, 뒷면 비문은 1934년 통정대부(通政大夫) 전홍문관시강(前弘文館侍讀) 최우락(崔禹洛)[1869~1936]이 썼다.

[현황]

태서리 순천 박씨가 정려순천 박씨 가문에서 잘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태서리 순천 박씨가 정려순천 박씨 가문의 열행을 알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