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향 성씨[고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95
한자 貫鄕 姓氏[古阜]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노석

[정의]

조선 시대 고부군 지역을 본관으로 한 성씨.

[개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일대는 백제 때에는 고사부리(古沙夫里)로 불렸으며, 757년(경덕왕 16) 이후 고부(古阜)로 불렸다, 951년(광종 2)에는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가 되었다가 1019년(현종 10)에 다시 고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세종실록(世宗實錄)』에 따르면 토성(土姓)이 다섯 개인데 이(李)·은(殷)·배(裵)·임(林)·백(白)이다. 또한 부안(富安)의 성은 조(曺)·김(金)·진(陳)이요, 황조(荒調)의 망성(亡姓)은 장(張)·뇨(尿)[일명 강(康)]·김(金)이요, 속성(續姓)은 박(朴)[향리(鄕吏)]이요, 수금(水金)의 성은 이(李)요, 모조(毛助)의 속성(續姓)은 백(白)이요, 우일(雨日)의 성은 백(白)이고 망성(亡姓)은 이(李)·은(殷)·임(林)이요, 덕림(德林)의 성은 김(金)이고 망성(亡姓)은 임(林)·윤(尹)·차(車)·백(白)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고부군 조 성씨 항목에는 고부군에 이(李)·은(殷)·배(裵)·임(林)·백(白)의 성씨가 있었고, 수금향(水金鄕)에 이(李), 부안향(富安鄕)에 조(曺)·김(金)·진(陳)이, 황조향(荒調鄕)에 박(朴)·장(張)·김(金)·뇨(尿)[또는 강(康)]이, 덕림소(德林所)에는 임(林)·김(金)·윤(尹)·차(車)·백(白)이, 모조부곡(毛助部曲)에는 백(白)이, 우일부곡(雨日部曲)에는 박(朴)·김(金)·윤(尹)·차(車)·백(白)·이(李)·은(殷)·임(林)이, 독변소(禿邊所)에는 고(高)·임(林)·송(宋)이, 음성향(音聲鄕)에는 정(井)씨가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개편 정읍시사』[2010]에는 고부 강씨(古阜 姜氏), 고부 김씨(古阜 金氏), 고부 남씨(古阜 南氏), 고부 박씨(古阜 朴氏), 고부 배씨(古阜 裴氏), 고부 백씨(古阜 白氏), 고부 서씨(古阜 徐氏), 고부 유씨(古阜 劉氏), 고부 이씨(古阜 李氏), 고부 임씨(古阜 林氏), 고부 장씨(古阜 張氏), 고부 전씨(古阜 全氏), 고부 조씨(古阜 趙氏), 고부 최씨(古阜 崔氏), 고부 추씨(古阜 秋氏), 고부 하씨(古阜 河氏), 고부 한씨(古阜 韓氏), 고부 황씨(古阜 黃氏), 독변 고씨(禿邊 高氏), 독변 임씨(禿邊 林氏), 수금 김씨(水金 金氏), 수금 진씨(水金 陳氏), 영주 고씨(瀛州 高氏), 우일 김씨(雨日 金氏), 우일 박씨(雨日 朴氏), 우일 백씨(雨日 白氏), 우일 윤씨(雨日 尹氏), 우일 은씨(雨日 殷氏), 우일 임씨(雨日 林氏), 우일 차씨(雨日 車氏), 음성 정씨(音聲 井氏), 황조 김씨(荒調 金氏), 황조 박씨(荒調 朴氏), 황조 요씨(荒調 尿氏)[황조 강씨(荒調 康氏)], 황조 장씨(荒調 張氏) 등이 고부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개편 정읍시사』의 기록은 고부 각 지역에 열거한 성씨들이 거주하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지, 이들 성씨들이 고부 지역을 본관으로 하고 있었다는 의미는 아니다. 현재는 고부 이씨가 고부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

[고부 이씨]

고부 이씨는 영주 이씨(瀛州 李氏)라고도 하며, 시조는 이경조(李敬祖)이다. 이경조는 고려 문종 때 최충(崔沖)이 설립한 사학(私學)의 효시인 구재학당(九齋學堂) 출신으로 한림학사를 거쳐 문하평장사에 올랐다. 1071년(문종 25) 김제(金悌)와 함께 서장관으로 송(宋)나라에 다녀왔으며, 문종에서 숙종 대에 이르기까지 5대를 섬긴 공으로 추충보정공신에 녹훈되어 여산군(礖山君)에 책봉되고 벼슬이 검교좌정승에 이르렀다. 후손들은 이경조의 전 세거지인 고부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2015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고부 이씨는 서울특별시 4,134명, 부산광역시 675명, 대구광역시 202명, 인천광역시 916명, 광주광역시 301명, 대전광역시 319명, 울산광역시 167명, 세종특별자치시 55명, 경기도 4,133명, 강원도 235명, 충청북도 228명, 충청남도 379명, 전라북도 2,101명, 전라남도 286명, 경상북도 243명, 경상남도 367명, 제주특별자치도에 8,150명 등 전국에 2만 2891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