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99
한자 崔致遠
영어공식명칭 Choe Chiwon
이칭/별칭 고운(孤雲)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류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857년연표보기 - 최치원 출생
활동 시기/일시 868년 - 최치원 당나라 유학
활동 시기/일시 874년 - 최치원 진사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876년 - 최치원 표수현위 역임
활동 시기/일시 880년 - 최치원 「토황소격문」 작성
활동 시기/일시 884년 - 최치원 귀국
활동 시기/일시 886년 - 최치원 태산태수 부임
출생지 서라벌 - 경상북도 경주시
부임|활동지 태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사당|배향지 무성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무성리 500]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경주
대표 관직 승무랑시어사내공봉[당나라]|한림시독학사|태산태수

[정의]

통일 신라 시대 정읍 지역의 수령을 지낸 문신.

[가계]

최치원(崔致遠)[857~?]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고운(孤雲)이다. 경주 최씨의 시조이다. 아버지는 곡사(鵠寺)의 중창 불사에 참여하였던 최견일(崔肩逸)이고, 동생은 승려 현준(賢俊)이다.

[활동 사항]

최치원은 857년(현안왕 1) 서라벌[현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태어났다. 868년(경문왕 8) 당나라에 유학하여 874년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이후 선주(宣州) 표수현위를 거쳐 880년 고변(高騈) 장군의 종사관으로 있으면서 황소(黃巢)의 난이 일어나자 황소를 성토하는 유명한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지었다. 황소가 「토황소격문」을 읽다가 자신도 모르게 침상에서 내려앉았다는 일화가 전한다. 이때의 공로로 승무랑시어사내공봉이 되었다.

최치원은 884년 귀국한 뒤 한림시독학사·병부시랑·지서서감사 등을 역임하였다. 886년(정강왕 1)에는 태산(泰山)[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과 부성(富城)[현 충청남도 서산시]의 태수가 되기도 하였으나, 당시는 이미 신라의 국운이 기울어 궁예(弓裔)와 견훤(甄萱)이 북원(北原)과 전주(全州)에서 반란군을 규합하여 중앙 정부를 위협하는 상황이었다. 최치원은 말년에 각지를 유랑하다가 합천 해인사(海印寺)에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최치원은 시문은 물론이고 외교 문서와 불교 관련 문서 등 다양한 저술을 남긴 당대의 명문장가였다. 특히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황소의 난이 일어났을 때 지은 「토황소격문」은 문장가로서 이름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최치원이 지은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은 현전하는 한국 최고(最古)의 문집이다. 최치원의 불교 관련 저술에는 화엄 사상을 중심으로 한 신라 말 불교계의 동향이 담겨 있으며,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난랑비서(鸞郞碑序)」 등에는 유교와 도교 사상 및 신라 전통에 대한 이해가 담겨 있다. 최치원은 6두품 출신으로, 유교와 불교는 물론 도교까지도 한데 융합하고자 노력하였다.

[상훈과 추모]

최치원을 모시는 사우와 서원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무성서원을 비롯하여 전국 여러 곳에 건립되었다. 경주의 서악서원, 함양의 백연서원, 안동의 용강서원, 군산의 염의서원과 문창서원, 광주의 지산재 등이 있다. 이밖에 영정을 모신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의 서원을 살펴보면, 무성서원, 염의서원, 현충단, 옥산서원, 벽성서원 등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