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06 |
---|---|
한자 | 朴文孝 |
영어공식명칭 | Bak Munhyo |
이칭/별칭 | 백원(百源)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류호석 |
출생 시기/일시 | 1568년![]() |
---|---|
활동 시기/일시 | 1590년 - 박문효 음보로 종묘서직장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박문효 임진왜란 때 의주 행재소까지 선조 호종 |
몰년 시기/일시 | 1593년![]() |
추모 시기/일시 | 1817년 - 박문효 이조참의 추증 |
추모 시기/일시 | 1819년 - 박문효 서현사 배향 |
출생지 | 한성부 - 서울특별시 |
묘소|단소 | 박문효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
사당|배향지 | 서현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서재길 13[태서리 909]![]()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순천 |
대표 관직 | 종묘서직장 |
[정의]
조선 후기 정읍의 서현사에 배향된 문신.
[가계]
박문효(朴文孝)[1568~1593]의 본관은 순천(順天)이며, 자는 백원(百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중선(朴仲善)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 박원종(朴元宗)이다. 아버지는 박운(朴雲)이고, 어머니는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부인은 송만필(宋萬弼)의 딸 진천 송씨(鎭川 宋氏)이다.
[활동 사항]
박문효는 1568년(선조 1)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1590년 음보(蔭補)[조상의 덕으로 벼슬을 얻음]로 종묘서직장에 제수되었으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 행재소까지 임금을 호종하였다. 이후 의주에 머물던 박문효는 1593년 한성부로 돌아오는 길에 개성(開城)에서 왜군을 만나 싸우다가 순국하였다.
박문효의 처 송씨는 남편이 임금을 호종하러 떠난 뒤에 어린 자식과 함께 태인(泰仁)으로 내려와 있다가 남편이 사망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스스로 목숨을 끊어 남편의 뒤를 따랐다. 아들은 유모에게 맡겨져 마을을 떠났지만, 훗날 후손들이 태인으로 내려와 학동마을과 서재마을에 집성촌을 이루어 세거하였다.
[묘소]
박문효의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박문효는 1816년(순조 16) 이조참의에 추증되고 부인 송씨와 함께 정려되었다. 1819년에는 지금의 정읍시 태인면 서재길 13[태서리 909]에 있는 서현사(西峴祠)에 배향되었다. 서현사는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85년에 중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