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12
한자 李希孟
영어공식명칭 Lee Huimaeng
이칭/별칭 백순(白淳),익재(益齋),문안(文安)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송만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75년연표보기 - 이희맹 출생
활동 시기/일시 1492년 - 이희맹 별시 문과 장원 급제
활동 시기/일시 1493년 - 이희맹 홍문관수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498년 - 이희맹 낙향
활동 시기/일시 1500년 - 이희맹 공주목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06년 - 이희맹 사헌부장령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12년 - 이희맹 도승지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13년 - 이희맹 이조참의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16년 - 이희맹 변무사로 명나라 사행
몰년 시기/일시 1516년 9월연표보기 - 이희맹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73년 - 이희맹 도계서원 배향
출생지 이희맹 출생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망제동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도계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도계1길 34-13[도계리 384]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고부
대표 관직 도승지|이조참의|충청도관찰사

[정의]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가계]

이희맹(李希孟)[1475~1516]의 본관은 고부(古阜)이며, 자는 백순(白淳), 호는 익재(益齋)이다. 아버지는 이종근(李從根)이다.

[활동 사항]

이희맹은 1475년(성종 6) 고부군 우덕면 천곡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망제동]에서 태어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492년 봄 진사시에 합격한 뒤 가을에 치러진 별시 문과에 장원급제하였고, 1493년 홍문관수찬에 임명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494년 연산군(燕山君)이 즉위한 뒤에는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부모의 병구완과 학문에 전념하였다.

이희맹은 임피현령에 임명되어 다시 관직에 나아갔고, 병조좌랑·호조좌랑·사헌부지평을 역임하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가 발생하자 관직을 사임하고 낙향하였다. 1500년 공주목사를 거쳐 사간원사간이 되었으나, 연산군의 폭정이 계속되자 다시 관직에서 물러났다.

1506년(중종 원년) 반정으로 연산군을 몰아내고 중종이 즉위한 뒤 이희맹은 사헌부장령에 임명되었고, 이후 우부승지·한성부좌윤·전라도관찰사·충청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1512년 도승지가 되었고, 1513년 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516년 변무사(辨誣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고향에 돌아왔다가 9월에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이희맹은 사망한 뒤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문안(文安)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으며, 1673년(현종 14) 지금의 정읍시 덕천면 도계1길 34-13[도계리 384]에 있는 도계서원(道溪書院)김제민(金齊閔)·최안(崔安)·김지수(金地粹)와 함께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