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14
한자 李洸
영어공식명칭 Yi Kwang
이칭/별칭 사무(士武),우파(雨波),우계산인(雨溪散人)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송만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41년연표보기 - 이광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67년 - 이광 생원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74년 - 이광 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86년 - 이광 함경도관찰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89년 - 이광 전라도관찰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이광 용인 전투 패전
몰년 시기/일시 1607년연표보기 - 이광 사망
거주|이주지 한성부 - 서울특별시
거주|이주지 고부군 우일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지도보기
유배|이배지 벽동군 - 북한 함경북도 벽동군
묘소|단소 이광 묘소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추동리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덕수
대표 관직 전라도관찰사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가계]

이광(李洸)[1541~1607]의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자는 사무(士武), 호는 우파(雨波)·우계산인(雨溪散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간원사간 이의무(李宜茂)이고,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행(李荇)이다. 아버지는 중추부도사 이원상(李元祥)이고, 어머니는 동부승지 신옥형(申玉衡)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부인은 청주목사 이증영(李增榮)의 딸 덕산 이씨(德山 李氏)이고, 아들은 이안지(李安止)·이안직(李安直)·이안진(李安眞)이다.

[활동 사항]

이광은 1541년(중종 36)에 태어났다. 1567년(명종 22)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574년(선조 7) 별시 문과에 급제한 뒤 권지성균관학유·의정부사록을 거쳐 1577년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이후 평안도병마평사·성균관전적·병조좌랑·사간원정언·형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582년에는 예조정랑·성균관직강·북청판관을 지냈으며, 1584년 장악원첨정을 거쳐 함경도의 암행어사로 파견되었다. 암행어사로 함경도의 구호 현황을 살피고 돌아와 영흥부사로 부임하였고, 1586년 길주목사로 나갔다가 함경도관찰사로 승진하였다. 1589년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군이 북상하자 이광은 전라도 내의 관군과 의병을 이끌고 서울로 향하다가 임금이 의주로 피난길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해산하였다. 얼마 후 조정에서 다시 기병(起兵)하라는 명령이 내려오자 도내의 관군과 의병 2만 명을 거느리고 서울로 올라가다가 경기도 용인(龍仁)에서 왜군과 싸워 크게 패하였다. 이후 왜군이 전라도로 진격하자 전라도관찰사로서 전주성 방어에 공을 세웠다. 이광은 용인 전투 패배의 책임을 물어 평안북도 벽동군(碧童郡)으로 유배되었고, 사면된 뒤에는 외가가 있는 고부군 우일면(雨日面)[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으로 낙향하여 지내다가 1607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광의 저술로는 문집인 『우계집(牛溪集)』이 전한다.

[묘소]

이광의 묘소는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추동리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