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26
한자 金坫(岾)
영어공식명칭 Gim Jeom
이칭/별칭 경숙(慶叔),매당(梅堂)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망제동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송만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몰년 시기/일시 1560년연표보기 - 김점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01년 - 김점 유허비 건립
출생지 부안군 옹정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부안읍 옹중리
거주|이주지 고부군 우일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오공동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망제동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남고서원(南皐書院)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2[보림리 880-1]지도보기
성격 학자
성별 남성
본관 부안
대표 관직|경력 영은전참봉

[정의]

조선 전기 정읍 지역에 거주한 학자.

[가계]

김점(金坫)[?~1560]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경숙(慶叔), 호는 매당(梅堂)이다. 아버지는 김석옥(金錫沃)이다. 사위는 기대승(奇大升)의 장남 기효증(奇孝曾)이다.

[활동 사항]

김점은 부안군 옹정[현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부안읍 옹중리]에서 태어나 이항(李恒)[1499~1576]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김천일(金千鎰)과 함께 이현(二賢)으로 불렸다. 명종 때 학행으로 천거되어 영은전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직하고 낙향하여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이후 거주지를 스승 이항의 거처와 가까운 고부군 우일면(雨日面)[현 정읍시 정우면]으로 옮겼다.

김점은 당대의 대학자들인 김인후(金麟厚)·조헌(趙憲)·김안국(金安國)·기대승 등과 교유하였으며, 만년에는 오공동(五公洞)[현 정읍시 망제동] 앞 곡소(曲沼)의 석벽(石壁) 위에 척심정(滌心亭)을 지은 뒤 아침저녁으로 글을 읽고 때로는 낚시를 즐기면서 유유자적한 삶을 살다가 1560년(명종 15)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김정은 사망한 뒤 지금의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2[보림리 880-1]에 있는 남고서원(南皐書院)에 배향되었다. 1901년에는 척심정 터인 지금의 정읍시 방천길 24-3[망제동 산40]에 매당 김선생 척심정 유허비(梅堂 金先生 滌心亭 遺墟碑)가 건립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