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23 |
---|---|
한자 | 李恒 |
영어공식명칭 | Yi Hang |
이칭/별칭 | 항지(恒之),일재(一齋),문경(文敬)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송만오 |
출생 시기/일시 | 1499년![]() |
---|---|
활동 시기/일시 | 1566년 - 이항 학행으로 의영고영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67년 - 이항 임천군수를 사직하고 낙향 |
활동 시기/일시 | 1574년 - 이항 장악원정 제수 |
몰년 시기/일시 | 1576년![]() |
추모 시기/일시 | 1577년 - 이항 남고서원 배향 |
출생지 | 한성부 - 서울특별시 |
거주|이주지 | 태서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서리
![]() |
묘소|단소 | 이항 묘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리 산73-11
![]() |
사당|배향지 | 남고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2[보림리 880-1]![]()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성주 |
대표 관직|경력 | 임천군수|장악원정 |
[정의]
조선 전기 정읍에서 활동한 문신.
[가계]
이항(李恒)[1499~1576]의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자는 항지(恒之), 호는 일재(一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이유(李洧)이고, 할아버지는 이주(李湊)이다. 아버지는 의영고주부 이자영(李自英)이고, 어머니는 소경전참봉 최인우(崔仁遇)의 딸 완산 최씨(完山 崔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도총부경력 신백수(辛伯粹)의 딸 영월 신씨(寧越 辛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청풍 김씨(淸風 金氏)이다. 아들은 이덕일(李德一)·이수일(李守一)·이수근(李守根)·이수진(李守眞)·이진후(李震垕)이다.
[활동 사항]
이항은 1499년(연산군 5) 한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38년(중중 33) 어머니를 모시고 태인현 태서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서리]으로 이주하였다. 1539년 칠보산(七寶山) 아래에 서당을 세우고 학문에 전념하며 김약묵(金若默)·김점(金坫)·김복억(金福億)·김후진(金後進)·김대립(金大立)·손홍록(孫弘祿)·안의(安義) 등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였다.
이항은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추천되어 의영고령이 되었고, 이후 임천군수로 부임하였으나 1567년 5월 병으로 사직하고 낙향하였다. 선조 즉위 후 선공감부정·사옹원정을 역임하였고, 1574년(선조 7) 사헌부장령을 거쳐 장악원정이 되었으나 건강이 악화되어 사직하고 낙향하였다. 이항이 관직 생활을 마치고 낙향하자 선조가 네 번이나 어의(御醫)를 보내어 치료하도록 하였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1576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항의 저술로는 1673년(현종 14) 간행된 『일재선생유집(一齋先生遺集)』과 1759년(영조 35)에 간행된 『일재선생유집속집(一齋先生遺集續集)』이 전한다. 이항은 생전에 김인후(金麟厚)와 각별하였으며, 노수신(盧守愼)·기대승(奇大升) 등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태극도설(太極圖說)을 논하였다. 이항은 이(理)와 기(氣), 태극(太極)과 음양(陰陽)은 일체(一體)라며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을 주장하였다.
[묘소]
이항의 묘소는 정읍시 북면 보림리 산73-11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항은 사망한 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문경(文敬)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1577년(선조 10) 지금의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2[보림리 880-1]에 있는 남고서원(南皐書院)[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에 배향되었다. 1749년에는 지금의 정읍시 태인면 태서리 399-1에 유허비가 건립되었다. 일재 이항선생 유허비는 2016년 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10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