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28 |
---|---|
한자 | 金若默 |
영어공식명칭 | Kim Yakmuk |
이칭/별칭 | 태용(太容),성재(誠齋)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류호석 |
출생 시기/일시 | 1500년![]() |
---|---|
활동 시기/일시 | 1540년 - 김약묵 별시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49년 - 김약묵 청홍도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550년 - 김약묵 한산군수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557년 - 김약묵 양주목사 부임 |
몰년 시기/일시 | 1558년![]() |
출생지 | 태인 고현내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 |
사당|배향지 | 정읍 무성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무성리 505-1]![]()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도강 |
대표 관직|경력 | 양주목사 |
[정의]
조선 전기 정읍 출신의 문신.
[가계]
김약묵(金若默)[1500~1558]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자는 태용(太容), 호는 성재(誠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석정(金石鼎)이고, 할아버지는 김윤손(金潤孫)이다. 아버지는 김희석(金希奭)이고, 어머니는 송연손(宋演孫)의 딸 여산 송씨(礪山 宋氏)이다. 부인은 윤원(尹源)의 딸 여주 윤씨(驪州 尹氏)이고, 아들은 김복억(金福億)이다.
[활동 사항]
김약묵은 1500년(연산군 6) 태인(泰仁) 고현내면(古縣內面)[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에서 태어났다. 이항(李恒)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540년(중종 35)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549년(명종 4) 청홍도사를 거쳐 1550년 한산군수로 부임하였다. 한산군수 재임 중에는 선정을 베풀어 임금으로부터 두 차례나 의복을 하사받기도 하였다. 1557년에는 양주목사로 부임하였고, 1558년 양주 관아에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김약묵은 사망한 뒤 지금의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무성리 505-1]에 있는 정읍 무성서원(井邑 武城書院)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