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38
한자 申浩
영어공식명칭 Shin Ho
이칭/별칭 언원(彦源),무장(武壯)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남산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39년연표보기 - 신호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67년 - 신호 식년시 무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신호 낙안군수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97년 - 신호 남원 교룡산성 수어장 역임
몰년 시기/일시 1597년 8월 16일연표보기 - 신호 사망
출생지 고부면 우일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남산리 지도보기
활동지 남원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성격 무신
성별 남성
대표 경력 낙안군수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무신.

[가계]

신호(申浩)[1539~1597]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언원(彦源)이다. 할아버지는 신석형(申碩衡)이고, 아버지는 신희중(申希仲), 어머니는 장희령(張希齡)의 딸 창녕 장씨(昌寧張氏)이다. 부인은 최진홍(崔鎭洪)의 딸 전주 최씨(全州 崔氏)이고, 아들은 신천기(申天紀)·신대기(申大紀)이다.

[활동 사항]

신호는 1539년(중종 34) 고부면 우일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남산리]에서 태어났다. 1567년(선조 즉위년) 식년시 무과에 급제하였고, 조산보만호 등을 역임하며 북방에서 변경을 지킨 공로를 인정받아 내직인 도총부도사로 승진하였다가 다시 경력으로 자리를 옮겼다.

신호는 1592년 2월 낙안군수로 부임하였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의 휘하에서 중위장(中衛將)을 맡아 왜군과 싸웠다. 신호가 거느렸던 낙안군의 배가 가장 잘 정돈되고 빨랐기 때문에 항상 선두에서 적의 선봉을 맞이하였고, 왜군의 큰 배 두 척을 빼앗고 적군 수십 명의 목을 베는 등 숱한 전과를 올렸다. 이순신의 장계로 통정대부에 제수되었고, 1594년에는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추천으로 조방장(助防將)이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났을 때 신호는 교룡산성(蛟龍山城)의 수어장(守禦將)으로 있었는데, 왜군이 남원(南原)에 쳐들어오자 남원성을 지키다가 8월 16일 병사 이복남(李福男)·별장 김경로(金敬老)·부사 임현(任鉉) 등과 함께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신호는 사망한 뒤 선무원종공신 1등에 녹훈되고 형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무장(武壯)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지금의 정읍시 흑암신흥길 62-7[흑암동 597]에 있는 정충사(旌忠祠)와 남원시 만인로 3[향교동 636]에 있는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