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44
한자 金性溵
영어공식명칭 Gim Seongeun
이칭/별칭 성연(聖淵),인일정(引逸亭)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송만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65년연표보기 - 김성은 출생
몰년 시기/일시 1830년연표보기 - 김성은 사망
출생지 죽동마을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 죽동마을
거주|이주지 소성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옥산서원(玉山書院)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애당모촌길 9[애당리 343]지도보기
성격 학자
성별 남성
본관 광산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가계]

김성은(金性溵)[1765~1830]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성연(聖淵), 호는 인일정(引逸亭)이다. 아버지는 김윤중(金允重)이며, 어머니는 김창문(金昌文)의 딸 연안 김씨(延安金氏)이다.

[활동 사항]

김성은은 1765년(영조 41)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 죽동마을에서 태어나 1772년에 부모를 따라 정읍으로 이주하였다. 황윤석(黃胤錫)과 이직보(李直輔)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으나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고 오직 심신(心身)을 수양하는 공부에만 전념하였다. 김원행(金元行)·김정묵(金正默)·송치규(宋稚圭)·이서구(李書九) 등과 교유하였으며, 1830년(순조 30)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김성은의 저술로는 『동국문헌록(東國文獻錄)』·『임병창의록(壬丙倡義錄)』·『인일정유고(引逸亭遺稿)』가 있으며, 『해동삼강록(海東三綱錄)』·『성리변론(性理辯論)』·『태극해설(太極解說)』·『노계집(蘆溪集)』·『제왕역대연표록(帝王歷代年表錄)』·『고암서원지(考巖書院誌)』 등을 간행하였다.

[상훈과 추모]

김성은은 사망한 뒤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에 추증되었고, 지금의 정읍시 소성면 애당모촌길 9[애당리 343]에 있는 옥산서원(玉山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