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899 |
---|---|
한자 | 玉山書院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애당모촌길 9[애당리 343]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이동희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786년 - 옥산서원 강당 개축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48년 - 옥산서원 삼강문 중건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56년 - 옥산서원 사우 건립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87년 - 옥산서원 강당 복원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8년 11월 27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옥산서원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옥산서원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옥산서원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
현 소재지 | 옥산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애당모촌길 9[애당리 343]![]() |
성격 | 서원 |
정면 칸수 | 6칸[강당]|3칸[사우]|3칸[삼강문] |
측면 칸수 | 3칸[강당]|3칸[사우]|2칸[삼강문] |
소유자 | 김삼협 |
관리자 | 광산 김씨 이조참의공파 종중 |
문화재 지정 번호 |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애당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개설]
옥산서원(玉山書院)은 광산 김씨 문중 서원으로 의촌(義村) 김남식(金南式)[1617~1681]을 주벽으로 좌우에 각각 아들 시은(市隱) 김이성(金履成)과 증손 인일정(引逸亭) 김성은(金性殷)[1765~?]을 배향하였다. 김남식은 신독재 김집의 문인이며, 병자호란 때 창의하였으며, 청나라 연호를 쓰지 않아서 세칭 ‘숭정처사(崇禎處士)’라고 하였다. 1823년(순조 23) 효자 정려가 내렸다. 김이성은 효자이며, 김성은은 황윤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옥산서원은 1998년 11월 27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4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위치]
옥산서원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애당모촌길 9[애당리 343]에 있다. 소성파출소에서 소성보건소 쪽으로 4㎞ 정도 들어가면 모촌저수지 못 미쳐 모촌마을 모정이 있고 ‘광산김씨유적지 옥산서원’이라고 새긴 매우 큰 표지석이 있다. 표지석과 모정 사이로 난 길 위에 홍살문이 있다. 홍살문을 지나 오른쪽으로 난 길가, 산자락 밑에 있다.
[변천]
옥산서원은 창건 연대는 분명치 않으나 1786년(정조 10) 강당을 개축하였다. 『전북 원우록』[1973]에는 1956년 사우를 건립하여 김성은을 향사하였고, 이후 1967년 가을 김남식, 김시은을 합사하였다고 나온다. 사우 좌우에 옥산사 묘정비와 옥산서원 묘정비가 있다. 영당(影堂)은 김성은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삼강문에는 충신 김남식, 효자 김이성, 열녀 완산 이씨 등의 정려 현판이 걸려 있다. 강당은 1987년 복원하였으며, 삼강문은 1948년 중건하였다.
[형태]
옥산서원은 홍살문을 지나 오른쪽 산자락 밑으로 ‘광산 김씨 삼강문’, ‘영당’, ‘옥산서원’이 줄지어 있다. 각각의 문을 따로 하여 독립된 영역을 갖추고 있다. 옥산서원으로 들어가는 문은 솟을대문으로 되어 있고 ‘옥산서원’이라고 편액이 걸려 있다. 솟을대문 안쪽 창살에 ‘희(囍)’ 자를 붙여 놓았다. 대문으로 들어서면 강당 옥산정사(玉山精舍)가 있고 뒤로 사당이 있다. 강당 왼쪽에는 전사청이 있다. 강당은 정면 6칸, 측면 3칸, 팔작지붕이다. 사우 옥산사(玉山祠)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이다. 영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다. 삼강문은 2층 누각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현황]
옥산서원은 광산 김씨 이조참의공파 종중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옥산서원은 광산 김씨 가문의 충효와 절의를 알 수 있는 서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