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48
한자 崔應立
영어공식명칭 Choe Eungrip
이칭/별칭 동계(東溪),주극(柱極)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99년연표보기 - 최응립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24년 - 최응립 이괄의 난 때 의병 300명을 이끌고 길마재에서 공을 세움
몰년 시기/일시 1637년연표보기 - 최응립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42년 - 최응립 모충사에 배향
추모 시기/일시 1852년 - 최응립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 추증
추모 시기/일시 1885년 - 최응립 자헌대부 호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추증
출생지 산성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 지도보기
성격 의병장
성별 남성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의병장.

[가계]

최응립(崔應立)[1599~1637]의 본관은 삭녕(朔寧)이며, 자는 주극(柱極), 호는 동계(東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조참판 최옹(崔顒)이고, 할아버지는 최상찬(崔尙鑽), 아버지는 최한국(崔罕國)이다.

[활동 사항]

최응립은 1599년(선조 32)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몸집이 크고 무예를 좋아하였다고 한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난을 일으키자 의병 300명을 모아 웅천현감 백함생(白咸生)과 함께 도성 인근의 길마재(鞍峴峙)[현 무악재]에서 큰 전공을 세웠고, 진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최응립은 이후 태인(泰仁) 동계(東溪)에 은거하였는데,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다시 창의(倡義)하여 백함생과 함께 의병 수천 명을 이끌고 강화도에서 전투를 벌이다가 1637년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최응립은 1842년(현종 8) 지금의 정읍시 대칠길 20-5[옹동면 산성리 산97]에 있는 모충사(慕忠祠)에 배향되었다. 1852년(철종 3)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에 추증되었고, 1885년(고종 22)에는 자헌대부 호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추증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