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61
한자 崔永斗
영어공식명칭 Choe Yeongdu
이칭/별칭 최병규(崔丙圭),최인기(崔仁基)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조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29년연표보기 - 최영두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94년 - 최영두 동학농민혁명 참여
활동 시기/일시 1899년 4월 18일 - 최영두 기해농민봉기 주도
활동 시기/일시 1899년 4월 22일 - 최영두 관군에 체포
몰년 시기/일시 1899년 9월 13일연표보기 - 최영두 사망
출생지 만화동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하부리 만화마을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만화동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하부리 만화마을
활동지 정읍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성격 기해농민봉기 지도자
성별 남성
본관 초계

[정의]

개항기 정읍 출신의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이자 기해농민봉기 지도자.

[가계]

최영두(崔英斗)[1829~1899]의 본관은 초계(草溪)이고, 아버지는 최정도(崔禎道)이다. 본명은 최병규(崔丙圭)이고, 최인기(崔仁基)로도 알려졌다. ‘영두(永斗)’는 자이다. 부인은 언양 김씨(彦陽 金氏)이고, 아들은 최석일[최익서]·최석안[최방서]·최석정·최석홍이다.

[활동 사항]

최영두는 1829년(순조 29) 정읍현 서일면 만화동[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하부리 만화마을]에서 태어났다. 1894년(고종 31) 아들 최익서·최방서와 함께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뒤 살아남아 피신하였다가 기해농민봉기를 이끌었다. 기해농민봉기는 1894년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다가 살아남은 손화중포와 김개남포에 속한 동학농민군들이 제2의 동학농민혁명을 계획하고 이를 실행에 옮긴 사건이었다.

최영두는 1899년 4월 18일 아들 최익서와 함께 정읍현 입암면 왕심리[현 정읍시 입암면 단곡리 왕심마을]에서 300여 명의 농민군을 모아 보국안민(輔國安民)·벌왜벌양(伐倭伐洋)을 기치로 봉기하였다. 최익서는 박정집(朴正執) 등 32명을 거느리고 고부 관아를 습격하였고, 서양 총 11자루와 천보총(千步銃) 15자루, 조총(鳥銃) 150자루와 화약 2상자 등의 무기를 확보하여 농민군을 무장시켰다. 이후 최익서가 이끈 300여 명의 농민군은 1899년 4월 21일 흥덕(興德)·무장(茂長)을 점령하고 4월 22일 고창성(高敞城)[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으로 진격하여 전투를 벌였으나 관군에게 패배하였다.

최영두는 나머지 농민군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하기 위하여 무장을 떠나 고창으로 향하였지만, 폭우로 발이 묶인 사이 최익서의 부대가 패전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농민군을 해산한 뒤 정읍으로 돌아왔다. 최영두는 둘째아들 최방서와 함께 관군에게 체포되어 전주 감옥에 투옥되었고, 9월 13일 감옥에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최영두는 2021년 동학농민혁명참여자 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로 등록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