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76
한자 崔益鉉
영어공식명칭 Choe Ikhyeon
이칭/별칭 최기남(崔奇男),찬겸(贊謙),면암(勉庵)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류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33년 12월 5일연표보기 - 최익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55년 - 최익현 정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870년 - 최익현 승정원동부승지 제수
활동 시기/일시 1873년 - 최익현 제주목에 유배
활동 시기/일시 1875년 3월 - 최익현 제주목에서 해배
활동 시기/일시 1876년 1월 - 최익현 흑산도에 유배
활동 시기/일시 1879년 2월 - 최익현 흑산도에서 해배
활동 시기/일시 1906년 6월 4일 - 최익현 정읍에서 의병 봉기
몰년 시기/일시 1907년 1월 1일연표보기 - 최익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62년 3월 1일연표보기 - 최익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출생지 가채리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
묘소|단소 최익현 묘소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
사당|배향지 정읍 무성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무성리 500]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모덕사 -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나분동길 12[송암리 171-1]
성격 문신|의병장
성별 남성
본관 경주
대표 관직|경력 호조참판|경기도관찰사

[정의]

개항기 정읍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자 의병장.

[가계]

최익현(崔益鉉)[1833~1907]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庵)이다. 어릴 적 이름은 최기남(崔奇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광조(崔光肇)이고, 할아버지는 최극경(崔克敬)이다. 아버지는 최대(崔岱)이고, 어머니는 이계진(李啓晉)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다. 부인은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다.

[활동 사항]

최익현은 1833년(순조 33) 12월 5일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서 태어났다. 김기현(金琦鉉)과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855년(철종 6)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가 되었다. 이후 사간원정언·성균관직강·사헌부장령·돈녕부도정·성균관전적·예조좌랑 등을 거쳐 1870년 승정원동부승지가 되었다.

1873년(고종 10) 10월 16일 최익현은 동부승지 사직 상소를 올리며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여 대신들의 탄핵을 받았으나, 고종은 최익현을 두둔하여 대신들의 처벌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호조참판에 제수하였다. 11월 3일 다시 호조참판 사직 상소를 올려 만동묘(萬東廟)와 서원 복구, 원납전 폐지, 흥선대원군의 퇴진을 주장하였다가 제주목(濟州牧)으로 유배되었다. 1875년 3월 유배에서 풀려난 뒤 1876년 1월 강화도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다시 흑산도에 유배되었고, 1879년 2월 유배에서 풀려났다. 이후 공조판서·의정부찬정·궁내부특진관·경기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최익현은 1895년 명성왕후 시해와 단발령에 분개하여 올린 상소를 비롯하여 30여 편의 상소를 올려 위정척사(衛正斥邪)를 주장하고 일본의 간섭을 비판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 이후에는 무력 투쟁으로 방향을 선회하였고, 1906년 6월 4일 임병찬(林炳贊)·임락(林樂) 등과 함께 전라북도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켜 정읍과 순창을 거치면서 500여 명을 규합하였다. 최익현 의진은 6월 8일 곡성에 들어가 일제 관공서를 철거하고 6월 10일 순창으로 돌아왔으며, 6월 11일 광주관찰사 이도재(李道宰)의 해산 요청을 거절하였다. 이후 전주관찰사 한진창(韓鎭昌)이 이끄는 관군의 공격을 받아 사로잡힌 최익현은 한양으로 압송되었고, 이후 일본군 사령부에 넘겨져 임병찬과 함께 쓰시마에 유배되었다. 최익현은 단발을 강요당하였으나 단식으로 저항하다가 1907년 1월 1일 옥중에서 사망하였다.

[묘소]

최익현의 묘소는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에 있다. 최익현선생묘는 1982년 8월 3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상훈과 추모]

최익현은 1928년 종묘에 있는 고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44-12[무성리 500]에 있는 정읍 무성서원(井邑 武城書院)과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나분동길 12[송암리 171-1]에 있는 모덕사(慕德祠) 등 전국 20여 곳의 서원과 사우에 배향되어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최익현의 공적을 기려 1962년 3월 1일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