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78
한자 柳秉禹
영어공식명칭 Yu Byeongu
이칭/별칭 해사(海史)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단곡리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장순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49년 9월 24일연표보기 - 유병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06년 9월 - 유병우 의병 봉기
활동 시기/일시 1906년 - 유병우 능주군 군아 습격
활동 시기/일시 1909년 8월 25일 - 유병우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유형 15년형 선고
몰년 시기/일시 1910년 1월 15일연표보기 - 유병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유병우 건국포장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유병우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출생지 단곡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단곡리 지도보기
활동지 정읍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활동지 능주군 - 전라남도 화순군
성격 의병
성별 남성

[정의]

개항기 정읍 출신의 의병.

[가계]

유병우(柳秉禹)[1849~1910]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호는 해사(海史)이다. 임진왜란 때 정읍 남나령(南羅嶺)에서 왜군과 맞서다 전사한 군자감주부 유춘필(柳春苾)의 후손이다.

[활동 사항]

유병우는 1849년(헌종 15) 9월 24일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단곡리에서 태어났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본에 국권을 빼앗기자 유병우는 고광순(高光順)·백낙구(白樂九)·양초계(梁草溪)·양해심(梁海心)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킬 것을 결의하였다. 1906년(광무 10) 9월 유병우는 지리산(智異山)에서 다수의 무리를 규합하여 순천군 순사주재소 습격을 모의하였고, 9월 21일 동료 10여 명과 함께 총기를 휴대하고 순천으로 출발하였으나 도중에 날이 밝아져 정읍으로 철수하였다. 이후에도 의병 활동의 뜻을 굽히지 않고 계속 동지를 규합하였고, 의병장 이광선(李光善)의 부장이 되어 100여 명의 의병들과 함께 전라남도 능주군(綾州郡)[현 전라남도 화순군] 군아(郡衙)[고을의 수령이 사무를 보던 관아]를 습격하기도 하였다.

유병우는 전라남도 동복군(同福郡)[현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일대]에서 일본군 약 30명과 교전하다가 체포되었고, 1909년 8월 25일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유형(流刑) 15년형을 언도받고 투옥되었다. 이후 함께 갇혔던 30여 명과 함께 감옥을 부수고 탈출하여 적의 기관을 습격하는 등 의병 활동을 계속하다가 12월에 머리에 중상을 입고 다시 체포되었다. 유병우는 죽음을 각오하고 단식 투쟁을 하다가 1910년 1월 5일 옥중에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유병우의 공적을 기려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