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79 |
---|---|
한자 | 許在弘 |
영어공식명칭 | Heo Jaehong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화해리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장순순 |
출생 시기/일시 | 1890년 5월 13일![]() |
---|---|
활동 시기/일시 | 1909년 2월 - 허재홍 이성화 의진 가담 |
활동 시기/일시 | 1909년 9월 20일 - 허재홍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징역 2년 선고 |
몰년 시기/일시 | 1961년 1월 4일![]() |
추모 시기/일시 | 1999년![]() |
출생지 | 고부군 우일면 화야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화해리
![]() |
성격 | 의병 |
성별 | 남성 |
[정의]
개항기 정읍 출신의 의병.
[활동 사항]
허재홍(許在弘)[1890~1961]은 1890년 5월 13일 고부군 우일면 화야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화해리]에서 태어났다.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으로 고종(高宗)이 강제 퇴위당하고,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당하여 국권이 위태로워지자 전국 각지에서 의병 항쟁이 일어났다. 허재홍은 1909년 2월 이성화(李成化)가 이끄는 의병 부대에 가담하여 동지 15명과 함께 총기 5~6정을 휴대하고 고부군과 정읍군 일대에서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다. 1908년 3월에 결성된 이성화 의진은 당시 100여 명의 병력으로 고부·태인·순창·부안·정읍 등지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가고 있었다.
1909년 4월 이성화 의진은 의병장 신보현(申甫玄)의 부대와 연계하여 일본군과 교전하였으며, 6월에는 고부군 우덕면(優德面)[현 정읍시 덕천면]에서 일본 헌병대를 격퇴하기도 하였다. 이성화 의진은 1909년 7월에만 일본 경찰·헌병대·수비대를 26회나 공격할 정도로 큰 세력을 떨쳤다. 허재홍은 이성화의 지휘 아래 전투를 벌이던 중 일본군에게 체포되었고, 1909년 9월 20일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징역 2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허재홍은 1961년 1월 4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허재홍의 공적을 기려 1999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