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703 |
---|---|
한자 | 李鎭浩 |
영어공식명칭 | Yi Jinh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안후상 |
출생 시기/일시 | 1895년 2월 25일![]() |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4월 - 이진호 신인동맹 가담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1월 9일 - 이진호 일제 경찰에 체포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10월 6일 - 이진호 전주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 선고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12월 9일 - 이진호 형 집행 정지로 출소 |
몰년 시기/일시 | 1970년![]() |
추모 시기/일시 | 2008년![]() |
출생지 | 백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백산리
![]() |
거주|이주지 | 백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백산리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 |
성격 | 종교인|독립운동가 |
성별 | 남성 |
[정의]
일제 강점기 정읍 출신의 종교인이자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이진호(李鎭浩)[1895~1970]는 1895년 2월 25일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백산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백산리]에서 태어났다. 1938년 4월 무렵 태인에서 정인표(鄭寅杓)가 주도하던 신과 인간이 일제를 몰아내기 위하여 맺은 동맹이라는 뜻의 항일 비밀 결사 단체 신인동맹(神人同盟)에 가담하였다. 1938년 7월 15일 백산리 이진호의 집에서 정인표는 일본에 사(死) 자를, 조선에 생(生) 자를, 소화(昭和)[일본 히로히토 천황 때 사용하였던 연호로 일본 천황을 지칭]에 낙(落) 자를 각각 붙이면서 일망무지(日亡無地)라 하였다. 이는 일본은 망하고 조선은 살아난다는 뜻이었다. 또한 천지는 선한 자에게 복을 주고 악한 자에게 화를 주나니 일본은 결국 패망한다며, 우리는 조국 광복을 위하여 성심껏 기도를 계속하자고 강론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패망을 기원하는 비밀 집회를 계속하며 동지 획득과 하부 조직 결성 및 자금 조성 등에 힘쓰던 신인동맹은 1940년 12월 밀정의 신고로 정인표 등 40여 명이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진호는 1941년 1월 9일 체포되어 1943년 10월 6일 전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5년형을 선고 받았고, 전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1943년 12월 9일 형 집행 정지로 출소하였다. 이진호는 1970년 사망하였다.
[묘소]
이진호의 묘소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 국립서울현충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진호의 공적을 기려 2008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