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세룡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721
한자 殷世龍
영어공식명칭 Eun Seryong
이칭/별칭 은세봉(殷世鳳),은봉표(殷鳳杓),은석모(殷石慕),송산당(松山堂)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후지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임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3년연표보기 - 은세룡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6년 - 은세룡 황석공교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32년 - 은세룡 황석공교에서 황극교로 교명 변경
활동 시기/일시 1940년 - 은세룡 일제 경찰에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40년 10월 30일 - 은세룡 전주지방법원에서 징역 4년 선고
활동 시기/일시 1941년 9월 29일 - 은세룡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4년 확정
몰년 시기/일시 1964년연표보기 - 은세룡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0년연표보기 - 은세룡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후지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후지리 지도보기
성격 종교인|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일제 강점기 정읍 출신의 종교인이자 독립운동가.

[가계]

은세룡(殷世龍)[1873~1964]의 본관은 행주(幸州)이며, 아버지는 은우설(殷祐說)이다. 은세봉(殷世鳳)·은봉표(殷鳳杓)·은석모(殷石慕)·송산당(松山堂)으로도 불렸다.

[활동 사항]

은세룡은 1873년(고종 10)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후지리에서 태어났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각지를 떠돌며 유생들과 시대를 논하다가 1926년 10월 김제군 부량면 신두리[현 김제시 부량면 신두리]에 있던 김영식(金靈植)의 집에서 김영식·홍명선과 함께 황석공교(黃石公敎)를 조직하였다. 황석공교는 중국의 『황석공소서』에 의거한 신종교였지만 교인들에게는 한국 독립의 가능성을 깨우치고 민족정신을 주입하기 위하여 정감록류의 예언을 강조하였다.

은세룡은 1931년 10월 15일 전라남도 장흥군 천관산에서 교인들과 함께 황석공(黃石公)과 천지인(天地人) 신에게 한국의 독립을 기원하는 천류(天禷)라는 제사를 거행하였다. 1932년 9월 황석공교를 황극교(皇極敎)로 개명한 후 전국을 동서남북 4횡으로 크게 나누고 4횡 아래에 대횡과 소횡을 두는 전국 조직을 만들었다.

은세룡 등은 교단의 조직을 갖춘 후 1932년 10월 15일 김제 모악산에서 다시 천제를 지냈다. 1933년부터 1936년까지 개성 두문동(杜門洞)과 부안 변산 등 여러 장소에서 천제를 지내며 황극교의 교세를 확장하고 독립 의식을 확산하였다. 1937년에는 한국의 독립에 대비하여 정청(政廳)으로서 삼황묘(三皇廟)를 계룡산에 세우기로 결의하고 준비하기도 하였다.

은세룡은 1940년 황극교의 반일 활동을 예의주시하던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구속되었다. 1940년 10월 30일 전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4년형을 선고 받았고, 1941년 9월 29일 대구복심법원에서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은세룡은 1974년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은세룡의 공적을 기려 201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