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792 |
---|---|
영어공식명칭 | Saemgeul Market |
이칭/별칭 | 정읍 제1호시장,정읍 제1시장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평6길 25[시기동 280-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소순열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14년 9월 12일![]()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49년 4월 - 정읍 제1시장 화재[1949]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57년 12월 - 정읍 제1시장 화재[1957]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7년 6월 23일 - 정읍 제1시장 시장 민영화 |
개칭 시기/일시 | 2011년 7월 1일![]() |
현 소재지 | 샘고을시장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평6길 25[시기동 280-4]![]() |
성격 | 전통 시장 |
면적 | 29,458㎡[부지 면적] |
전화 | 063-534-6661[정읍 샘고을시장상인회] |
홈페이지 | https://saemgoeul.modoo.at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에 있는 전통 시장.
[개설]
샘고을시장은 5일장과 상설 시장의 형태로 열리고 있다. 정읍 샘고을시장은 어려운 경제 여건과 다양한 유통 환경의 변화 등으로 날로 어려워져 가는 상황에서 전통 시장을 활성화함으로써 모범적인 전통 시장으로 거듭난 대표적인 시장이다. 고등학교 『지리』 교과서에 전국 5대 시장 중 하나로 소개되었다.
[변천]
정읍의 장시[5일장]는 1914년 9월 12일 조선총독부 「시장 규칙」에 의하여 ‘정읍 제1호시장’으로 규정되었다. 당시 전통적인 장시를 행정·경찰 기구를 앞세워 관리 통제하기 위한 조선총독부 시장 정책의 일환이었다. 1923년 무렵 정읍시장의 부지 면적은 1만 5000평[약 5만㎡]이었다. 2일과 7일 개시되어 곡물, 목재, 신탄, 우마, 어패류, 직물, 잡화 등을 거래하였다. 한때 출장 상인은 640명, 구매자는 5,000명 정도로 정읍군 일원은 물론 고창, 부안, 순창과 전남의 일부까지 포함한 대단히 큰 상권이었다. 해방 이후 샘고을시장은 지역의 상권을 확립하고 번창하였으나, 1949년 4월, 1957년 12월 2차례의 화재로 시장은 옛날처럼 번창하지 못하였다. 1958년 3월 41동의 목조 아연 지붕으로 점포를 마련하였다. 시장의 기능을 할 수 있었으나 시장 본래의 모습을 찾을 수는 없었다. 협소한 시장 때문에 제2시장 증설이 필요하다는 논의 과정을 거쳐 정읍시장의 명칭은 제2시장에 상대되는 제1시장으로 자연스럽게 바뀌어 불리게 되었다.
이후 시장 환경 개선과 상권 확보를 위하여 시장 번영회를 조직하였다. 1975년 10월 제1시장 번영회는 시장 현대화 계획을 수립하고 민영화를 추진하였다. 1977년 6월 23일 정읍군 소유로 되어 있는 시장 부지와 시장 운영권을 넘겨받아 실질적으로 민영화가 되었고, 상설 시장화되었다. 1978년 시장 현대화 사업을 완성하면서 오늘날의 시장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2011년 7월 1일 정읍 제1시장은 시민 공모로 샘고을시장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구성]
샘고을시장의 부지 면적은 2만 9458㎡, 장옥 면적은 2만 1458㎡이다. 고객 편의 시설로 지주식 대형 차량 주차장, 고객 쉼터 및 상인 교육장, 다목적 문화 광장 내 먹거리 부스, 야외 쉼터, 화장실 등이 있다. 상인 조직으로 샘고을시장상인회가 있으며, 특별히 방화위원회도 구성되어 있다.
[현황]
2023년 현재 샘고을시장에는 356개의 점포가 있으며, 종사자는 500명가량이다.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관광객에게도 인기가 있다. 상시 운영하는 상설 시장이며, 5일장에는 천변주차장에서 가축장도 열린다. 샘고을시장은 농축산물과 수산물, 건어물, 옷, 잡화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을 취급하면서 전통 시장으로 명맥을 이어 가고 있다.
전통 기술을 이용한 솜틀집을 운영하는 ‘대양솜공장’, 4대가 가업을 이어 전통악기를 제작하는 ‘전승명가’, 정읍에서 가장 오래된 우산 양장점 ‘오복양산’, 가장 오래된 전통 상업 점포 ‘정읍민속대장간’, 가장 오래된 시계방 ‘이시계점’ 등 장인 점포가 다수 있다. 50년 넘은 순대국밥집 ‘화순옥’, 팥죽으로 유명한 ‘옛날팥죽집’, 모시송편으로 유명한 ‘민속떡집’, 쑥개떡으로 이름난 ‘솔나무 떡방앗간’ 등 유명 맛집도 있다. 정읍시와 상인회는 T-마켓 시민회원제, 공동 쿠폰제, 택배 차량 운영 등 다양한 시책을 전개하며 전통 시장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