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59
한자 市基洞
영어공식명칭 Sigi-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시기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30년 12월 26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시기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시기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31년 4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시기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시기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1년 7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시기리에서 전라북도 정주시 시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주시 시기동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시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시기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면적 3.34㎢
가구수 1,673가구
인구[남/여] 3,117명[남 1,482명|여 1,635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시기동(市基洞)은 정읍에 자리 잡고 있는 시장, 즉 장터를 한자로 표시한 것이 ‘시기(市基)’이며, 『1872년 지방군현지도』[정읍현]에 이미 ‘시기(市基)’라는 지명이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적어도 조선 후기에 읍치의 관아(官衙) 앞에 형성된 시장터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추정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정읍현(井邑縣) 군내면(郡內面)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시기리(市基里), 수첨리(水砧里), 광교리(光橋里), 서중리(西中里), 미동리(米洞里), 중사리(中舍里), 그리고 동면 종산리(鐘山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시기리로 개설되었다.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개칭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시기리로 개편되었다.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정주읍으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시기리로 개편되었다. 1981년 7월 1일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주시 시기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저 전라북도 정읍시 시기동이 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시기동은 대부분 산지로 북쪽에 위치한 정읍천이 흐르는 방면을 제외하고 삼면이 모두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망상봉과 초산애산 등이 서쪽과 남쪽의 경계에 자리하고 있으며, 산지와 정읍천 사이에는 좁고 긴 범람원에 시가지가 동서로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시기동정읍천의 하안단구에 해당되는 저지대로 북쪽은 조곡천1길 및 조곡천2길을 경계로 연지동, 장명동상동과 접하고 있다. 조곡천1길과 조곡천2길은 과거 정읍천의 지류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정읍천과 조곡천의 지류들은 현재 모두 매립되어 도로와 시가지로 조성되었다.

[현황]

2023년 현재 시기동의 면적은 3.34㎢이며, 인구는 1,673가구, 3,117명[남자 1,482명, 여자 1,635명]이다. 시기동은 동쪽으로 상동, 송산동, 서쪽으로 상평동, 연지동, 남쪽으로 과교동, 신월동, 북쪽으로 연지동, 수성동과 접하고 있다. 법정동인 시기동을 시기동과 초산동 2개의 행정동이 나누어 관할하고 있다. 시기동사무소는 정읍시 벚꽃로 323[시기동 201-1]에, 초산동사무소는 정읍시 천변로 2269[시기동 412-7]에 있다.

시기동정읍천을 끼고 있어서 모래와 자갈이 많은 지대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시적으로 전라북도 임업묘포장(林業苗圃場)이 있었으며, 광복 후에는 공설운동장으로 사용되다가 배영중학교(培英中學校)가 설립되었으며, 1994년 배영중학교흑암동(黑岩洞)으로 옮긴 후에는 삼화그린아파트가 들어섰다. 2023년 현재 시기동에는 오래된 마을들이 많아서 정읍시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특성에 알맞은 중심 시가지형 재개발 사업이 구상되고 있다. 초산동이 관할하는 시기동은 공공주택을 중심으로 한 주택지가 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정읍남로와 정읍사로가 주요 진출입로에 해당된다. 정읍남로는 동서 방향으로 시가지를 연결하는 반면, 정읍사로는 도심과 시가지를 남북 방향으로 연결하는 도로이다. 정읍사로는 도심에서 정동교를 건너 정읍고등학교, 정읍중학교, 정읍사문화공원전북과학대학교 및 성황당고개를 넘어 신월동과 연결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