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보수력발전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827
한자 七寶水力發電所
영어공식명칭 Chilbo Hydroelectric Power Plant
이칭/별칭 섬진강수력발전소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산외로 48[시산리 18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소순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45년 4월연표보기 - 칠보발전소 제1호기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0년 6월 - 칠보발전소 시설 대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0년 12월 - 칠보발전소 제1호기 및 변전 설비 복구 개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1년 4월 - 칠보발전소 제1호기 복구 완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1년 8월 11일 - 칠보발전소 제2호기 기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5년 12월 20일연표보기 - 칠보발전소 제2호기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3년 9월 - 칠보발전소 제3호기 시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5년 3월 15일연표보기 - 칠보발전소 제3호기 준공
개칭 시기/일시 2018년연표보기 - 섬진강수력발전소에서 칠보수력발전소로 개칭
현 소재지 칠보수력발전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산외로 48[시산리 186]지도보기
성격 발전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에 있는 수력 발전소.

[개설]

칠보발전소섬진강에 저장된 물을 노령산맥을 관통하는 수로를 이용, 낙차가 큰 동진강 수계 쪽으로 물을 떨어뜨리는 유역 변경식 발전소이다. 1943년 조선전기주식회사가 남선수력전기를 합병하여 1945년 칠보발전소 제1호기를 준공하였으며, 이어 1965년 칠보발전소 제2호기를 증설하였다. 이후 섬진강수력발전소로 계속 불리었으나, 2018년 지역 명칭 찾기 운동으로 칠보수력발전소로 명칭이 바뀌었다.

[건립 경위]

남선전기주식회사의 운암수력발전소는 운암댐 건설자인 동진수리조합과의 계약상 관개용수 우선 원칙에 따라 갈수기는 물론이고 평소에도 항상 용수에 제한을 받았다. 운암수력발전소 측에서는 발생 전력과 배전에 불안을 느껴 섬진강 하류에 큰 댐을 축조함으로써 저수량을 늘려 풍부한 관개용수와 전력 공급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영월화력의 차질로 남부 지역의 전력 부족이 어려워지자 농업용수와 전력 용수의 확보를 위하여 섬진강댐 건설에 착수하여 칠보수력발전소를 건립하게 되었다.

[변천]

칠보발전소 건설 공사는 1940년 9월 남선전기주식회사에서 착공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공사가 지연되었다. 이후 전체 공사의 60%, 댐 공사의 23%를 완성하고, 불완전하나마 1945년 4월 제1호기의 첫 발전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함께 완전히 중단되었다. 1950년 6·25전쟁 당시 칠보발전소를 점령한 북한군이 유엔군의 폭격에 대비하여 발전기를 해체, 운반하던 중 유엔군의 폭격으로 다수의 시설이 파손되었다. 1950년 9·28수복 때에는 공비들이 방화와 총격을 가하여 건물 5동이 전소하고 변전 설비가 파괴되는 등 심한 피해를 입었다. 그 뒤 1950년 12월 복구 공사에 착수하여 1951년 4월 제1호기를 복구하였다. 종전 후 국토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부 주관 아래 조선전력회사[현 한국전력공사]가 댐 공사와 제2호기 건설을 추진하였으며,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반영되었다. 1965년 12월 20일 제2호기, 1985년 3월 3호기를 증설하였다.

[구성]

운암발전소가 1945년 4월 칠보발전소 제1호기를 준공하였다. 제2호기는 1961년도 8월 11일 착공하여 1965년 12월 준공한 섬진강 다목적댐 건설 기간 중에 설치하였다. 제3호기는 1983년 9월 착공하여 1985년 3월 15일 준공하였다. 2023년 현재 총발전 시설 용량은 3만 4800㎾이다. 1호기와 2호기는 각각 1만 4400㎾, 3호기는 6,000㎾이다.

[현황]

2023년 현재 칠보수력발전소의 소유자는 한국수자원공사이며, 한국전력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정읍시 산내면 장금리에 취입구가 있고,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칠보수력발전소까지 직경 3.4m, 연장 6,215m의 수도(水道)가 있다. 제1호기는 유효 낙차 136m, 최대 통수량 1,096㎥/sec로서 시설용량 1만 4400㎾H, 연간 최대 발전량 12만 6144㎾H의 발전을 한다. 종전 운암수력발전소의 낙차는 77.02m로 1㎥의 물로써 614㎾를 발전하던 데 비하여 칠보발전소의 낙차는 136m로 1㎥의 물로써 1,313㎾의 발전 능력을 발휘하게 되어 수자원 이용에 대한 효율을 증가시켰다. 저수 용량 4억 3832만㎥, 유효 낙차 151.7m를 이용하여 수차 3대를 활용하여 연간 1억 8000만㎾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2023년 현재 기존 사옥을 철거하고 역사관과 홍보관을 겸비한 현대식 사옥을 신축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