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852 |
---|---|
한자 | 井邑愛育院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평7길 74-6[시기동 375-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규 |
설립 시기/일시 | 1945년 11월 12일![]() |
---|---|
이전 시기/일시 | 1949년 9월 2일 - 정읍애육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 198-1[배영중학교 기숙사]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1952년 9월 30일 - 정읍애육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 198-1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 180으로 이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56년 - 재단법인 정읍애육원 설립 허가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72년 8월 7일 - 사회복지법인 정읍애육원 설립 허가 |
이전 시기/일시 | 2012년 4월 2일 - 정읍애육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 180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 375-5로 이전 |
최초 설립지 | 정읍애육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동
![]() |
주소 변경 이력 | 정읍애육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남북로 19-13[시기동 198-1]![]() |
주소 변경 이력 | 정읍애육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중앙로 179[시기동 180]![]() |
현 소재지 | 정읍애육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평7길 74-6[시기동 375-5]![]() |
성격 | 사회 복지 시설 |
설립자 | 최상섭|정종실|김용은|송수흠|톨라(M. J. TOLA)|이종근|아반(D. A. ARBAN) |
전화 | 063-535-3017 |
홈페이지 | http://www.je1945.or.kr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에 있는 아동 보육 시설.
[설립 목적]
정읍애육원은 해방 후 혼란기에 발생한 고아들을 수용, 보호하여 건강하고 바른 아동으로 양육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2023년 현재는 ‘클라이언트 중심의 꿈과 희망으로 훈훈함이 넘치는 행복한 세상!’을 비전으로 정하고 ‘믿음·소망·사랑’이라는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기쁨과 보람과 행복이 있는 정읍애육원을 목표로 운영하고 있다.
사회 복지의 이념인 생명의 존엄성과 사랑의 실천을 바탕으로 부모의 사망, 이혼, 가정 해체 등으로 인하여 부모의 보호와 양육을 받지 못하는 아동을 클라이언트 중심의 운영 방침에 따라 사회 구성원으로 바르게 자립할 수 있도록 육성하고 있다.
[변천]
1956년 재단법인 정읍애육원으로 설립 허가를 받았다.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제정에 따라 1972년 8월 7일 사회복지법인 정읍애육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45년 11월 12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동의 귀속농원 소천과수원에 정읍애육원을 설립하였다. 1949년 9월 2일 정읍애육원을 정읍시 남북로 19-13[시기동 198-1]에 있는 배영중학교 기숙사로 이전하였다. 1952년 정읍시 중앙로 179[시기동 180]로 다시 이전하였다. 1964년 10월 12일 정읍애육원 시설 인가를 받았고, 1967년 10월 12일 정읍애육원 시설이 갱신 인가되었다. 2012년 4월 2일 정읍시 태평7길 74-6[시기동 375-5]으로 이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정읍애육원에서는 크게 요보호 아동 보호 사업, 교육 지원 사업, 문화 지원 사업, 지역 연계 사업, 자립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요보호 아동 보호 사업은 심리 검사 및 상담, 전문가 심리 치료, 가족 상담 및 원가정 복귀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영양·건강 관리 및 사례 관리, 학대 피해 아동 긴급 일시 보호 등이 해당한다. 교육 지원 사업으로는 학원 수강 및 특기 적성 교육, 안전 의무 교육 및 금융 교육, 다양한 체험 학습, 비전 캠프 등의 교육 활동이 있다. 문화 지원 사업으로는 문화 예술 강사 지원, 숲 나들이 및 산림 복지 바우처, 주제별 캠프 진행, 문화 예술 공연 관람, 심리 정서 지원 체험 활동 등이 있다. 지역 연계 사업은 지역 주민 초청 간담회 및 시설 개방을 비롯하여 봉사 활동 및 후원 활동 등이 있다. 자립 지원 사업은 퇴소 수당, CDA, 자립 정착금 및 대학 입학 지원금, LH 주택 지원, 자격증 취득, 자립 지원 통합 지원 센터 연계 등 보호 기간이 종료되어 자립을 하여야 하는 아동들을 지원하는 일이다.
[현황]
정읍애육원은 2023년 현재 정읍시의 대표적인 아동 보육 시설이지만 최근 저출생 현상으로 시설 입소 아동이 급감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정읍애육원은 해방과 전쟁을 거치면서 대거 발생한 고아를 돌보기 위하여 지역의 성직자, 독지가, 경찰서장, 미군정청 관계자 등이 뜻을 모아 설립한 보육 시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