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기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862
한자 科學 技術
영어공식명칭 Science and Technology
분야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문만용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연구·개발되는 과학과 기술 및 관련 활동.

[개설]

정읍시의 과학 기술은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농업을 바탕으로 새롭게 조성된 첨단과학산업단지의 연구 인력과 인프라를 활용한 바이오 분야가 대표적이다. 정읍시는 전북연구개발특구의 농생명 융합 분야 연구 및 생산 거점 지구이며, 장기적으로 첨단 의료 복합 단지 지정을 꾀하고 있다.

[첨단과학산업단지]

1995년 정주시정읍군이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도시로 새롭게 발족한 정읍시는 기름진 호남평야를 바탕으로 논농사가 발달하였으며, 채소 등의 원예 작물 재배도 활발하다. 축산업과 함께 섬유 공업, 사료 및 식료품 공업 등 제조업이 발달한 편이며, 1980년대 정읍 공업 단지 등 공업 단지 및 농공 단지 건설로 공업화가 이루어졌다.

2000년대에 들어 정읍시는 첨단 과학 기술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키워야 한다는 구상 아래 신정동 일원에 정부 출연 연구 기관을 유치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우선 2001년 7월 확정된 원자력 종합 진흥 계획에 따라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를 설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의료, 농업, 생명 공학, 공업, 환경 분야의 방사선 및 방사선 동위 원소 이용을 확대하고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안전성평가연구소 전북분소가 잇달아 유치되면서 인근에 90만㎡의 첨단과학산업단지가 조성되었다. 여기에는 방사선기기표준화연구센터,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등 여러 연구 센터가 자리 잡고 있으며, 의약품 원료 생산과 동물 의약품, 신약 개발 등을 수행하는 바이오 기업들도 입주하여 있다. 우수한 연구 인력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2015년 정읍시는 전주시, 완주군과 함께 전북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었다. 정읍시 전북연구개발특구는 1.551㎢의 규모로, 농생명 융합 분야 연구 및 생산 거점 지구의 역할을 하며, 농생명과 첨단 소재 기반의 세계 일류 R&D 허브를 지향한다.

정읍시는 신정동 일원의 연구 기관과 연계하여 신약 개발 및 의료 기기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바이오 산업을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신정동첨단과학산업단지는 각종 세제 혜택과 직접 생산품에 대한 수의 계약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산업 단지이며, 첨단 지식 서비스 산업인 바이오 산업과 관련 연구 시설이 집적되어 전라북도를 대표하는 미래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바이오 헬스 케어 산업의 중심지로 주목을 받고 있다.

2023년 전라북도는 정읍시가 갖추고 있는 연구 및 산업 기반을 토대로 ‘동물용 의약품 및 기능성 사료용 농생명 소재 개발’ 지역 혁신 메가 프로젝트 공모 사업에 선정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정읍시는 연구소와의 협업을 통하여 국가 공모 사업을 잇달아 유치하고 있다. 더 나아가 전라북도와 정읍시는 대구, 오송 첨단 의료 복합 단지에 이어 정읍을 제3의 첨단 의료 복합 단지로 만들기 위하여 힘을 모으고 있다. 첨단 의료 복합 단지 유치는 바이오 산업 발전과 지역 균형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