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897 |
---|---|
한자 | 龍溪書院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동편길 41-3[시산리 688]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동희 |
건립 시기/일시 | 1701년![]() |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868년![]()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10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1년 12월 23일![]() |
현 소재지 | 용계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동편길 41-3[시산리 688]![]() |
성격 | 서원 |
정면 칸수 | 3칸[사당] |
측면 칸수 | 3칸[사당] |
문화재 지정 번호 | 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5호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개설]
용계서원(龍溪書院)은 1701년(숙종 27) 지방 유림들이 뜻을 모아 관곡(寬谷) 최서림(崔瑞琳)[1632~1698]을 향사하기 위하여 창건한 서원이다. 이후 1750년(영조 26) 최서림의 문인인 동곡(東谷) 김정호(金挺昊)[1673~1742]와 벽계(柏溪) 은정화(殷鼎和)[1650~1724]를 추배하였으며, 1757년(영조 37) 오천(鰲川) 한백유(韓佰愈)[1675~1742]와 안식와(安息窩) 김습(金習)[?~1638], 월곡(月谷) 유종흥(柳宗興)을 추배하였다.
최서림은 본관이 진주이며 서울 태생으로 영광, 무장, 무안을 등을 거쳐 고현내에 정착하였다. 신독재 김집의 문인으로 1662년(현종 3) 진사시에 2등 1위로 합격하였고, 1694년(숙종 20) 공능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김습은 본관이 의성이고, 고부 출생으로 사계 김장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은정화는 본관이 행주이며 태인 출생으로 최서림의 문인이다. 김정호는 태인의 대표적인 사족 도강 김씨로 최서림의 문인이다. 한백유는 본관이 청주이며 태인 출생이며 최서림의 문인이다. 유종흥은 본관이 고흥이며 최서림의 문인으로 고산 월곡[현 완주군 비봉면]에 은거하였다. 용계서원은 2011년 12월 23일 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되었다.
[위치]
용계서원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동편길 41-3[시산리 688]에 있다. 정읍 무성서원으로 가는 칠보산로를 따라가다 무성길로 꺾어 80m 정도 들어가면 왼쪽으로 동편길이 나 있다. 동편길로 200m 정도 가면 용계서원이 있다. 서원 옆에는 송인지 효자정려가 있다.
[변천]
용계서원은 1701년 건립되었으나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이후 1910년 다시 세웠다.
[형태]
용계서원은 삼문 앞에 1998년 건립한 용계서원중건기적비가 있다. 삼문 위에는 ‘용계서원’ 편액이 걸려 있다. 삼문 안으로 들어서면 묘정에 큰 소나무가 한 그루 있고, 오른쪽으로 ‘용계서원 설단비’와 6현의 단비가 서 있다. 삼문 정면에는 위패를 모신 사당이 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맞배지붕이다. 현재는 사당 1동만 있다.
[의의와 평가]
용계서원에 배향된 인물들은 벼슬에 나가지 않고 학문을 닦고 후학을 양성하였던 유학자로, 태인 향촌 사회의 사족들을 살펴볼 수 있는 서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