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939
한자 圓佛敎 甘谷敎堂
분야 종교/신종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원삼1길 16[방교리 662-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60년연표보기 - 원불교 감곡선교소 개소
개칭 시기/일시 1962년 4월 26일연표보기 - 원불교 감곡선교소에서 원불교 감곡지부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1977년 12월 - 원불교 감곡교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방교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 방교리 662-3으로 이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3년 - 원불교 감곡교당 원광유아원 설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원불교 감곡교당 어린이집 신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 원불교 감곡교당 원광유아원 폐원
최초 설립지 원불교 감곡선교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방교리
주소 변경 이력 원불교 감곡교지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방교리
현 소재지 원불교 감곡교당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원삼1길 16[방교리 662-3]지도보기
성격 교당
전화 063-571-3601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방교리에 있는 원불교 전북교구 소속 교당.

[설립 목적]

원불교 감곡교당은 1954년[원기 39] 무렵부터 정읍 지역에서 늘어난 원불교 신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원불교 감곡교당은 1960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감곡면 방교리에서 설립되었다. 신태인교당의 이충화 교도는 정읍시 감곡면이 고향으로 감곡면 용곽리에 용각교당을 설립하는 역할을 맡았다. 용각교당 설립을 추진하면서 인근인 감곡면 방교리에는 출장 법회를 열었다. 1960년 1월 방교리에 사는 태타원 신태은, 원산 김원국 부부가 초가 2동을 임시 법회 장소로 빌려주어 매월 2회 법회를 열었다. 설립 초기에는 신태인교당 장정현 교무가 출장 법회를 보았고 교도가 늘어나자 1960년 4월 26일 감곡선교소를 개설하였다. 1960년 4월 26일 초대 교무로 흠타원 정윤재 교무가 부임하였다.

2년 후인 1962년 4월 지부로 승격하였다. 그동안 신태은·김원국 부부가 빌려준 초가 2동에서 법회를 보았으나 점차 신도가 늘어나자 법회를 보기에 장소가 협소하였다. 그래서 1962년 10월 감곡면 방교리 횡령 부락에 있는 정미소를 인수하여 이전하였다. 1963년 5월 방앗간을 개축하고 법신불을 봉안하였다. 1963년 당시 대지는 방앗간 주인의 소유였고 건물 35평[약 115.70㎡]만 교당 소유였다.

3대 현산 조지성 교무가 부임하면서 새로운 교당 자리를 물색하는 중에 정읍 감곡면 출신인 서울 종로교당 만타원 김명환 교도가 1974년 1월 22일 교당 부지 1,379평[약 4,558.68㎡]를 매입하여 원불교 감곡교당에 희사하였다. 김상갑을 건축추진위원장으로 150여만 원 성금을 모집하였다. 이후 5대 교무인 녹타원 한법인 교무가 부임하여 1977년[원기 62] 12월 법당인 대각전을 신축하고 봉불식을 올리게 되어 감곡면 지역에 교당의 모습을 갖춘 원불교 감곡교당이 설립되었다. 2006년에는 법당 건물을 리모델링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원불교 감곡교당은 교화와 유아 교육 사업을 병행하였다. 원불교 감곡교당 6대 교무로 부임한 재타원 양재원 교무가 1983년 원광유아원을 설립하였다. 원광유아원은 교도들의 유아원에 대한 간절한 염원에서 출발하여 원불교 종로교당 김명환 교도가 희사한 교당 부지에 대지 면적 150평[약 495.87㎡], 건축 면적 30평[약 99.17㎡]으로 설립되었다. 원광유아원은 정읍시 감곡면 지역 어린이들의 도덕성 함양과 인재 육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2006년 노후된 유아원을 신축하였다. 2009년 10대 의타원 기정현 교무에 이르러 감곡 지역 사회 인구 변화에 의하여 어린이와 청소년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여 유아원을 폐원하였다.

원불교 감곡교당은 사회 복지 사업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1986년 문타원 김형모 교무가 부임하여 감곡면 노인회를 대상으로 동해안 효도 관광을 진행하고, 소년소녀 가장들에게 위로금과 의류를 전달하고 교당으로 초청하여 점심을 대접하는 등 지역 사회 봉사 활동을 시작하였다. 정읍 지역 우체국 집배원들에게 양말, 장갑, 마스크를 전달하고, 대각개교절에는 원광대학교병원과 함께 무료 진료 봉사 활동을 다니기도 하였다. 연말에는 이리보육원과 이리자선원을 방문하여 위문품을 전달하는 등 봉사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였다.

1990년부터는 농촌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문, 주산, 피아노를 가르치는 방과 후 교실을 운영하여 지역 사회 어린이들의 학습 발달에 큰 역할을 하였다. 특히 방학 동안 맞벌이 가정을 위하여 어린이 종일 교육을 실시하고 숙식도 제공하였다. 원불교 감곡교당의 어린이 교육은 오늘날 운영하는 방과 후 공부방의 효시로 볼 수 있다.

2009년 원광유아원 폐원 이후 원불교 감곡교당의 지역 사회 봉사는 다문화 가정에 집중되었다. 감곡초등학교와 연계하여 한글 교실을 열고, 이주 여성들의 교통 편의를 위하여 차량을 운행하였으며, 한글 공부방, 한국음식 배우기, 다문화 가족 교육, 한지 공예, 다상 만들기 등 한국 문화를 익힐 수 있도록 여러 교실들을 마련하였다. 또한 감곡면사무소와 연계하여 다문화 가정 사업을 위탁받아 백제 문화권인 익산 미륵사지, 영광 백제 불교 최초 도래지 등을 탐방하고 원불교 익산성지, 영산성지 등도 탐방하는 등 한국 문화를 익힐 수 있는 다양한 문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현황]

원불교 감곡교당에는 2023년 현재 용산 이춘선 교무가 근무 중이다. 교당은 법당 50여 평[약 165.3㎡]과 어린이집 2층 110평[약 363.63㎡] 규모이다. 어린이집은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적 시설로 1층에 교실 4개, 사무실과 자료실, 취사실 등이 갖추어져 있고, 2층은 원장 및 교무 생활관이 마련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