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945 |
---|---|
한자 | 圓佛敎 七寶敎堂 |
분야 | 종교/신종교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칠보중앙로 93-4[시산리 608-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안기 |
설립 시기/일시 | 1966년![]() |
---|---|
이전 시기/일시 | 1996년 - 원불교 칠보교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608-1로 이전 |
현 소재지 | 원불교 칠보교당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칠보중앙로 93-4[시산리 608-1]![]() |
성격 | 교당 |
전화 | 063-534-3135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에 있는 원불교 전북교구 소속 교당.
[설립 목적]
원불교 칠보교당은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를 개교 표어로 하여 소태산(小太山) 박중빈(朴重彬) 대종사의 가르침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원불교 칠보교당은 1966년 태인교당 최만진 교무가 행당유치원을 빌려 제1회 교리 강습회를 개최함으로써 시작되었다. 1969년에는 특지가 송중관이 희사한 백미 60가마를 기반으로 1970년 교당 부지 550평[약 1,818.18㎥]을 매입하였다. 1970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에 연원 교당을 내기도 하였으며, 1983년에는 유아원을 개설하였다.
1996년 정읍시 칠보면 칠보중앙로 93-4[시산리 608-1]에 칠보교당을 건축하였다. 초대 수타원 이순석 교무, 2대 이덕심 교무, 3대 대광옥 교무, 4대 전종철 교무, 박혜명 부교무, 5대 최정남 교무, 김성원부 교무, 6대 정재원 교무, 7대 임정욱 교무, 8대 고정길 교무, 9대 장현심 교무, 10대 오명성 교무, 11대 황연오 교무, 12대 황봉희 교무, 13대 김보철 교무, 14대 김기성 교무가 근무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원불교 칠보교당은 1983년 유아원을 개설하여 정읍시 칠보면 아동을 교육하였다. 1995년 샘골 어린이 민속잔치에 자원봉사, 1997년 어린이 한문 공부 실시, 북한 옷 보내기, 1998년 수재 의연금 기탁, 1999년 정읍 지구 동학농민혁명 참사자 특별 천도제 참석, 불우 가정 무료 결혼식 올리기 등을 하였다. 매년 대각개교절에는 은혜의 쌀과 떡 나누기, 장학금 수여, 소록도 봉사와 이웃 종교 경축일 축하하기 등 많은 행사를 지역민과 함께하고 있다.
[현황]
원불교 칠보교당은 2023년 현재 14대 김기성 교무가 근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