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074 |
---|---|
한자 | 七寶高等學校 |
영어공식명칭 | Chilbo High School |
이칭/별칭 | 칠보고,칠보고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건흥길 26-5[시산리 62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인탁 |
인가 시기/일시 | 1968년 11월 20일 - 칠보종합고등학교 설립 인가 |
---|---|
개교 시기/일시 | 1969년 3월 5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7년 3월 1일 - 칠보중학교와 칠보고등학교 분리 |
개칭 시기/일시 | 2001년 3월 1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3월 1일 - 칠보고등학교 전기과를 그린에너지과로 학과 개편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8년 3월 1일 - 칠보고등학교 그린에너지과를 전기과로 학과 개편 |
현 소재지 | 칠보고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건흥길 26-5[시산리 625]![]() |
성격 |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
전화 | 063-531-1581[교무실]|063-531-1584[행정실] |
홈페이지 | https://school.jbedu.kr/chilbo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칠보고등학교는 ‘기본 생활 습관을 잘 갖춘 창의적 기술 인재 육성’을 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수립하고, ‘학생의 적성·능력을 고려한 특성화 교육, 타인을 생각하고 배려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 다양한 교육 활동으로 지역 사회와 더불어 성장하는 학교’를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근면(勤勉)·노력(努力)’이다.
[변천]
칠보고등학교는 1968년 11월 20일 칠보종합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9년 3월 5일 개교하였다. 1977년 3월 1일 칠보중학교와 분리하였다. 2001년 3월 1일 칠보종합고등학교에서 칠보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1일 전기과를 그린에너지과로 학과를 개편하였다가, 2018년 3월 1일 그린에너지과를 다시 전기과로 개편하였다.
[교육 활동]
칠보고등학교는 호남 유일의 전기 특성화 고등학교로서 4차 산업 시대를 선도할 전기 산업 인재 양성을 위하여 ‘국가 직무 능력 표준[NCS]’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전기·전자 분야의 전문 기능사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 교과 과정은 전기·전자 기초, 전기 회로, 전기 기기, 전기 설비 등의 기초 교과 과정과 내선 공사, 자동 제어 시스템 유지 정비 및 운영, 외선 공사[가공 배전 과정], 내선 공사[전기 공사 과정] 등의 실무 과정으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한편 진로 탐색 및 전공 관련 산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산업체 현장 견학 프로그램과 기업 탐방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직업 능력 수준 함양 및 취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취업 역량 강화 교육, 진로 설계 교육, 진로 설계 캠프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국가 기술 자격증 취득을 위한 전공 심화 교육을 방과 후 수업 시간에 진행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
이름도 의젓고야 무성 옛 고을/ 장군봉 피는 구름 칠보 옛 구슬/ 우렁찬 종소리에 강산은 열려/ 다투어 모아 드는 대한의 샛별/ 차림도 새롭거라 새로운 기상/ 번듯한 우리 고교 칠보 대고교
2. 교목은 소나무이다.
3. 교화는 매화이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전기과 3학급에 18명[남학생 16명, 여학생 2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사 9명 등 10명의 교원과 5명의 직원 등 총 15명이 재직하고 있다. 멀티 미디어실, 도서실, 체력 단련실, 드론교육실, 영어전용교실, 과학실, 전기과 실습동, 보건실, 식생활관, 당구교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2년 12월 30일 제52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4,45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