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012
한자 敎育
영어공식명칭 Education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인탁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학생과 지역민을 위하여 관내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및 평생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

[개설]

정읍 지역의 유아 교육을 비롯하여 초등 교육, 중등 교육, 고등 교육 및 평생교육은 정읍시와 정읍교육지원청의 지원 아래 이루어지고 있다. 정읍교육지원청은 ‘함께 여는 미래 활기찬 정읍 교육’을 교육 비전으로 수립하고 ‘더불어 행복을 추구하는 세계 시민’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신나는 가르침 샘솟는 배움[미래], 소외와 차별이 없는 교육[책임], 안전하게 성장하는 건강한 학교[안전], 공정하고 따뜻한 학교 운영 지원[자치], 함께 만드는 활기찬 샘고을 교육 공동체[협력], 평화와 공존으로 실천하는 세계 시민[공동체]’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근대 학교]

정읍 지역 최초의 근대 학교는 1906년 고부군수 정용기가 설립한 사립 광화학교(匡和學校)이다. 사립 광화학교는 고부향교[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166]의 명륜당을 교사로 사용하다가 1906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161고부관아터에 교사를 건립하였다. 사립 광화학교는 1908년 사립에서 공립으로 개편되어 공립고부보통학교[현 고부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11년 3월 31일 제1회 졸업생으로 남학생 14명을 배출하였다.

1907년에는 태인군 군내면 칠리[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의 향교 부속 건물에 사립 인명학교(仁明學校)가 설립되었다. 사립 인명학교는 1911년 태인공립보통학교[현 태인초등학교]로 인가되어 1911년 9월 25일 개교하였고 제1회 졸업생으로 9명을 배출하였다.

1908년에는 진사 박기철이 정읍시 장명동 29에 사립 초남학교(楚南學校)를 설립하였다. 사립 초남학교는 1911년 10월 사립 보통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12년 5월 1일 정읍공립보통학교[현 정읍동초등학교]로 인가되었고, 1913년 3월 25일 제1회 졸업생으로 5명을 배출하였다. 1909년에는 태인군 용산면 화호리[현 정읍시 신태인읍 화호리]에 사립 용문학교가 설립되었다. 사립 용문학교는 1917년 10월 5일 화호공립보통학교[2000년 폐교된 화호초등학교의 전신]로 인가되어 1917년 11월 1일 개교하였다.

[유아 교육]

정읍 지역의 유아 교육 기관은 1928년 차원준이 설립한 사립 정읍유치원이 시초이다. 1930년대 정읍 지역에는 9개의 유치원이 있었다. 유치원은 1980년까지 사립으로 운영되다가, 1980년대에 들어 유아 교육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면서 1981년부터 공립 병설 유치원이 전국에 걸쳐 설립되었다. 이에 따라 정읍 지역 내 각 초등학교 역시 병설 유치원을 잇달아 신설하였다.

1981년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될 당시의 정주시정읍군의 유치원 현황을 보면, 정주시에는 공립 유치원 1개원, 사립 유치원 3개원 등 총 4개원이 있었고, 정읍군에는 병설 유치원 17개원이 있었다. 1995년 정주시정읍군의 통합으로 정읍시가 출범하면서 1995년 정읍 지역에는 공립 유치원 48개원, 사립 유치원 13개원 등 총 61개원이 있었다. 2023년 4월 현재 정읍시 관내 유치원은 공립 유치원 32개원[단설 1개원, 병설 31개원]과 사립 유치원 6개원 등 총 38개원이 운영되고 있다.

[초등학교 교육]

초등학교는 일반 교육·기초 교육·보통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기관이며, 취학 연령은 만 6세이고, 교육 기간은 6년이다, 1948년 「헌법」 제16조에서 ‘모든 국민은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여, 1950년 6월부터 초등 교육을 의무 교육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일제 통감부 설치 이후 초등학교 명칭은 1906년의 「보통학교령」에 따라 소학교에서 보통학교(普通學校)로 바뀌었으며, 이때를 보통학교령기라고 한다. 보통학교의 수업 연한은 4년으로 단축되었고, 교과목에는 일본어와 실과 등이 추가되었다. 1941년 「국민학교령」에 의하여 초등 교육 기관의 명칭은 보통학교에서 국민학교로 변경되었다. 국민학교라는 명칭은 계속 이어져 오다가 1996년 3월 1일부터 초등학교로 변경되었다.

정읍 지역의 초등학교 개교 실태를 살펴 보면, 1930년 이전에 설립된 학교로는 고부초등학교[1908], 태인초등학교[1911], 정읍동초등학교[1912], 화호초등학교[1917], 칠보초등학교[1919], 신태인초등학교[1923] 등이 있다. 1931년 개교한 감곡초등학교와 1932년 개교한 옹동초등학교를 비롯하여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전에 설립된 초등학교는 총 25개교이다. 1981년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될 당시의 총 초등학교 수는 정주시 5개교, 정읍군 51개교 등 총 56개교였다. 1990년대 후반 이후 학생 수 감소로 초등학교의 폐교와 통합이 이루어지면서 점차 줄어 2000년 정읍 지역 초등학교 수는 39개교였다가, 2023년 4월 현재는 공립 34개교가 운영되고 있다.

[중학교 교육]

중학교는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에 중등 보통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학교이다. 정읍의 중학교 교육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등 교육의 개황을 살펴보면 1911년 일제는 「조선교육령」을 공포하고 보통학교 3~4년, 고등보통학교 4년, 여자고등보통학교 3년, 실업학교 2~3년, 간이실업학교[수업 연한 제한 규정 없음], 전문 학교 3~4년의 학제를 만들어 식민 교육을 시작하였다. 해방 후인 1946년 중학교를 6년제로 하고 전, 후 각각 3년씩 운영하다가, 1951년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각각 3년씩 분리하여 지금의 중학교가 탄생하였다. 1969년 서울을 시작으로 1971년 전국으로 시행된 중학교 무시험 제도에 의하여 초등학교를 졸업하면 누구나 중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다. 1985년 대통령령인 「중학교 의무 교육 실시에 관한 규정」으로 중등 교육에서 의무 교육이 시행되기 시작하여 2004년에는 전국의 모든 중학교에서 의무 교육을 실시하게 되었다.

정읍 지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공립 중학교는 샘고을중학교의 전신인 정읍여자중학교이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사립 중학교는 광복 직후인 1946년 개교한 호남중학교신태인중학교이다. 1981년에는 공립 중학교와 사립 중학교가 각각 10개교씩 20개교가 운영되었는데, 2023년 현재는 공립 중학교 12개교, 사립 중학교 7개교 등 총 19개교가 운영되고 있다. 정읍 지역 중학교의 총 학급 수는 133개 학급이고 재학생은 2,503명이며 교원 수는 298명이다.

[고등학교 교육]

고등학교 교육은 고등학교에서 실시되는 고등 보통 교육 및 실업 전문 교육을 의미한다. 고등학교는 1949년에 공포된 「교육법」에서 채택한 6-3-3-4 단선형 학제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직전 3년 간 후기 중등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이다. 후기 중등 교육을 담당하는 고등학교는 인문계와 실업계로 분화되어 있다.

2023년 현재 고등학교는 교육의 기회 균등을 강조하는 평준화를 기반으로 일반 고등학교, 특수 목적 고등학교, 특성화 고등학교, 자율 고등학교 등 네 가지 유형이 있다. 1974년부터 평준화 적용 지역과 비평준화 적용 지역이 나뉘어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정읍시는 비평준화 지역이다. 고등학교의 입학 자격은 중학교 졸업자와 이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이며, 수업 연한은 3년이다.

정읍 지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공립 고등학교는 1910년 5월 13일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에서 2년제 군산공립실업학교로 개교하여 1923년 4월 30일 정읍공립농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정읍시 수성동 443으로 이전한 정읍제일고등학교이다. 그다음으로는 1943년 정읍시 장명동 209-1에서 4년제 정읍공립고등여학교로 개교하여 1971년 정읍시 상동 188으로 이전한 정읍여자고등학교이다.

가장 오래된 사립 고등학교는 학교법인 호남학원이 정읍시 시기동 475에서 1951년 개교한 호남고등학교이다. 그다음으로는 1952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 627-5에서 태인고등기술학교로 개교한 태인고등학교이다.

1981년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될 당시의 고등학교 현황은 정주시는 공립 3개교, 사립 4개교 등 총 7개교였으며, 정읍군은 공립 1개교, 사립 4개교 등 5개교로 총 12개교였다. 1995년 1월 1일 정주시정읍군이 통합된 이후 사립 고등학교[정주고등학교] 1개교가 늘어 2023년 현재 정읍시 고등학교는 공립 학교 4개 학교, 사립 학교 9개 학교 등 총 13개교가 운영되고 있다. 2023년 4월 현재 총 학급 수는 152학급이고, 학생 수는 2,707명이며, 교원 수는 350명이다.

[대학 교육]

정읍시에서 고등 교육을 실시하는 대학교로는 사립 전문 대학교인 전북과학대학교가 있다. 1995년 정읍시 시기동 산9-28에서 개교한 전북과학대학교는 ‘따뜻한 마음과 창의적 역량을 갖춘 기술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비전 아래 ‘실력 배양’, ‘신념 배양’, ‘봉사 정신 배양’을 교육 목표로 삼고 새 시대를 이끌 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전북과학대학교는 2023년 현재 공학계열[건축토목조경계열, 스마트정보과], 예능계열[뷰티앤디자인과, 방송연예미디어과], 보건계열[간호학과, 안경광학과, 치위생과, 보건행정과], 가정계열[호텔외식산업계열], 사회계열[복지계열, 경영세무회계과, 유아교육과, 실용한국어과] 등 5개 계열 아래 13개 학과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총 재학생 수는 1,611명이고, 교원은 전임 교원 51명과 비전임 교원 112명이 재직 중이다.

[평생교육]

2006년 교육부로부터 평생 학습 도시로 지정된 정읍시는 시민에게 평생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읍시 전담 기구인 정읍시 평생학습관을 운영하고 있다. 2022년에는 시민들에게 평생 학습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제2차 평생 학습 도시 중장기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의 각 평생교육 관련 기관과 더불어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정읍 시민을 위한 주요 평생교육 사업 및 프로그램으로는 성인 문해 교육, 노인 케어 전문 강사 양성 과정, 사이버 평생 학습관 운영, 평생 학습 동아리 지원, 행복학습센터 운영, 단풍아카데미 운영 등이 있다. 한편 정읍시는 평생 학습 도시로 지정된 2006년부터 해마다 정읍평생학습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정읍평생학습축제는 다양한 평생 학습 프로그램을 알려 배움의 즐거움을 알리고 평생교육 유관 기관에서 평생 학습에 참여하여 온 시민들이 평소 갈고닦은 배운 솜씨를 마음껏 발표하며 배움의 즐거움을 나누고자 개최하는 축제이다. 2023년에는 정읍 천변 어린이 축구장 일대에서 ‘으뜸 정읍, 평생 학습에 들뜨다!’를 주제로 제16회 정읍평생학습축제를 개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