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150
한자 蘭菊亭
영어공식명칭 Nankukjeong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1040-3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남해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28년연표보기 - 난국정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65년 - 난국정 이건
현 소재지 난국정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1040-3 지도보기
성격 누정
양식 목조 팔작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2칸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누정.

[위치]

난국정(蘭菊亭)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1040-3번지 황토마을에 있다. 주변은 산이 둘러싸고 있고 전면에 옥정호가 펼쳐져 있어 경관이 수려하다.

[변천]

난국정은 1928년 종성리 황토마을 옥정호 주변에 춘란추국(春蘭秋菊)의 뜻을 기리고자 건립하였다.1965년 옥정호의 신댐을 막으면서 수위가 상승하여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난국정은 본래 배기묵, 김일서, 배기정, 서용식, 유정열 등 여러 유지들이 기금을 모아 세웠다고 전한다. 입구에 난국정중수의연비와 난국정제명비가 서 있다. 편액은 경신년 계하에 오운 김용준이 썼고 석운 유춘석이 난국정을 차운한 시판이 있다.

[형태]

난국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누정이다. 평면은 누마루로 되어 있고 주변은 난간으로 둘렀다. 구조는 낮은 콘크리트 기단 위에 석재로 만든 장주 주춧돌을 세우고 주춧돌 위에 목조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은 창방과 결구하고 있으며 지붕은 겹처마에 팔작지붕이다. 내부 가구는 기둥 위에 대들보를 걸치고 대들보 위에 도리를 바로 얹었다. 천정은 중앙부는 우물천장으로 마감하고 주변은 연목이 노출되도록 연등천정으로 마감하였다.

[현황]

난국정의 보존 상태는 현재 양호한 편이다. 난국정이 있는 장금산 일원은 대장금의 고향으로 알려져있다. 난국정을 포함하여 마을 일대에는 대장금 마실길이 조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난국정은 자연 경관이 수려한 옥정호 주변에 지역 유지들이 세운 누정으로 정자 건축의 구조를 잘 반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