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163 |
---|---|
영어공식명칭 | Old Walls of Sanghak Village, Jeongeup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상학2길 26[상학리 633] 외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안선호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11월 30일![]()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 국가등록문화재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변경 |
현 소재지 |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상학2길 26[상학리 633]![]() |
성격 | 담장 |
면적 | 길이 2,419m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상학리 상학마을에 있는 조선 시대 옛 담장.
[개설]
상학마을은 두승산 북동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상학리의 상학마을 입구와 중심부에는 수령이 오래된 느티나무와 귀목나무가 있고 선돌[입석] 3기가 있어 고즈넉한 마을의 역사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경계를 구분하기 위하여 쌓았지만 마을 주민들 간의 사생활 보호와 소통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높지 않게 쌓은 것이 특징이다.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은 주변 가옥과 어울려 옛 정취를 느끼게 하여 주며, 농촌 마을의 생활사를 보여 주는 가치를 인정받아 2007년 11월 30일 국가등록문화재 제366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건립 경위]
마을 안 가옥과 밭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하여 주민들이 협동하여 쌓았다.
[변천]
상학마을의 담장을 언제 쌓기 시작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마을이 형성된 조선 시대부터 축조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15년 일부 구간을 보수하였다.
[구성]
대지를 조성하고 밭을 경작하면서 나온 크고 작은 돌을 사용하여 돌과 돌 사이에 흙을 채우지 않고 자연석 그대로 돌각담을 쌓았다. 사용된 돌의 크기와 형태는 일정하지 않으며 모양이 다양하다.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담장 하부는 넓게 하고 상부는 좁게 하였다.
[현황]
마을 내부에는 골목길을 따라 4/5 이상 돌담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전체 길이는 2,419m이다. 현존하는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의 높이는 대부분 1.2m 내외이며 높이 2m가 넘는 곳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