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36
한자 城隍山[泰仁面]
영어공식명칭 Seonghwangsan
이칭/별칭 죽사산(竹寺山),양진산(養眞山)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승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성황산[태인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성황산[태인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 지도보기
성격
높이 126.5m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성황산(城隍山)[태인면]은 마을 수호신을 모시던 성황사가 있었던 데서 유래한 지명이라 전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 『여지도서(輿地圖書)』 등에는 성황사가 “현 서쪽 4리[약 1.5㎞]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옛날에는 죽사산(竹寺山)이라고 하였다. 조선 시대 태인현의 주산(主山)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죽사산은 현의 북쪽 2리[약 0.8㎞]에 있는데 진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동국여지지』의 “양진산(養眞山)은 혹 죽사산으로도 부르는데, 현의 북쪽 1리[약 0.4㎞]에 있고 진산이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양진산으로도 불렀음을 알 수 있다.

[자연환경]

성황산[태인면]은 중생대 쥐라기 중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복운모 화강암에 해당한다. 복운모 화강암은 화강암보다 흑운모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수분이 풍부한 곳에서는 화학적 풍화와 침식에 약하기 때문에 차별 침식을 받아 저기복 구릉성 산지를 형성한다. 성황산 동쪽으로는 항가산, 비봉산, 상두산으로 이어지며, 성황산에서 발원한 신내천이 동진강에 합류한다.

[현황]

성황산정읍시 태인면 태성리에 있는 높이 126.5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39' 29.83", 동경 126° 56' 35.53"이다. 성황산은 1894년 11월 27일 전봉준의 동학농민군 주력군이 일본군·관군 연합군과 최후의 결전을 벌인 전적지이다. 성황산 아래에는 태인향교태인고등학교가 있으며, 남쪽 산자락에는 1984년 건립한 태인 3·1운동 기념탑과 위패 봉안소가 있다. 정상에서 태인 전경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