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01
한자 淸泉里
영어공식명칭 Cheongcheon-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청천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용북면 청천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35년 3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용북면 청천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면 청천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0년 1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면 청천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읍 청천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읍 청천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청천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청천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청천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1.19㎢
가구수 63가구
인구[남/여] 84명[남 42명|여 43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청당리(淸塘里)의 청(淸) 자와 정천동(淨泉洞)의 천(泉) 자를 따서 청천리(淸泉里)라고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용산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정천동, 상서동(祥瑞洞), 신곡리(新谷里), 청당리와 김제군 부량면 신평(新坪)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용북면 청천리로 개설되었다. 1935년 3월 1일 용북면이 신태인면으로 개칭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면 청천리로 개편되었다. 1940년 11월 1일 신태인면이 신태인읍으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읍 청천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적인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읍군정주시가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청천리가 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태인읍 청천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청천리는 북쪽과 동쪽으로 해발 10m 미만의 구릉이 있으며, 서쪽과 남부 지역에는 너른 들판이 있다. 중앙부에는 화호천이 남서쪽으로 꺾여 화호리를 거쳐 동진강으로 흘러간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청천리의 면적은 1.19㎢이며, 인구는 63가구, 84명[남자 42명, 여자 43명]이다. 청천리신태인읍의 서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육리, 서쪽으로 화호리, 남쪽으로 육리, 북쪽으로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와 접하고 있다.

청천리는 청천(淸泉)·신덕(新谷)·상서(祥瑞) 등 3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청천마을은 마을 앞에 물이 맑은 큰 웅덩이가 있었기 때문에 청당리(淸塘里)라고 불리었다. 신덕마을의 구릉부 정상부와 경사면에는 회청색 연질토기편, 회청색 타날문결질토기편, 분청자기편 등이 수습되었다. 상서마을은 명금산을 중심으로 동남쪽은 윗상서, 서쪽은 아랫상서로 나뉘어진다.

청천리에는 김제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명금산성이 있다. 명금산성은 해발 54m의 독립된 고지를 테머리식으로 감은 둘레 284m의 토성이다. 북쪽에 있는 벽골제 남단을 방비하는 요충지 역할을 하였다. 명금산성은 거의 평탄하여 토루는 높이 4m 정도이고 삼국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