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06
한자 馬亭里
영어공식명칭 Majeo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마정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보림면 마정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35년 3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보림면 마정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북면 마정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북면 마정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북면 마정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군 북면 마정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마정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4.76㎢
가구수 258가구
인구[남/여] 459명[남 237명|여 232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중심 마을인 마정마을에서 마정리(馬亭里) 명칭이 비롯하였으며, 한편 『한국 지명 총람』에 따르면 마씨가 살았으므로 마정이라 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남촌이변면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마정리, 연지동(蓮池洞), 평촌리(平村里)와 오류촌(五柳村), 서촌면(西村面)의 태곡리(台谷里)와 월천리(月川里), 정읍군 북면의 태곡리(台谷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보림면 마정리로 개설되었다. 1935년 3월 1일 행정 구역 조정으로 보림면이 폐지되면서 북면에 편입되어 전라북도 정읍군 북면 마정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북면 마정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마정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보림천이 칠보산 아래 보림리를 지나 마정리에서 축현천과 만나 동진강으로 흘러간다. 보림천과 축현천 주변으로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마정리의 면적은 4.76㎢이며, 인구는 258가구, 459명[남자 237명, 여자 232명]이다. 마정리북면의 동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칠보면 백암리, 서쪽으로 태곡리, 남쪽으로 보림리, 북쪽으로 태인면 태서리와 접하고 있다.

마정리는 연지(蓮池)·월천(月川)·평촌(平村)·마태(馬太)·원마정(元馬亭)·원오류(元五柳)마을의 6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연지마을은 예전에는 연지리, 또는 연지동이라고 하였다. 어느 날 도승(道僧)이 노령산맥의 줄기에 연화도수(蓮花倒水)의 혈이 있어 앞으로 인재가 많이 나올 것이며 후손의 성품이 온화할 것이라고 하며 연지동이라고 부르라고 하고 떠났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월천마을은 옛날에는 지형이 다락[논 배미]과 같다고 하여 다락골[樓谷]이라 하였으며, 서출동류(西出東流)한다 하여 서촌이라 부르기도 하였으나 일제 강점기에 ‘월천’이라 이름을 고쳤다. 평촌마을은 지형이 평평하다 하여 ‘평촌’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마태마을은 마태실(馬太實)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매화가 떨어지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매타실(梅墮實)이라 불렀던 것이 마태실로 전운(轉韻)된 것이다.

원마정마을은 150여 년 전에 안동 김씨 김찬택이 칠보산 아래 넓은 들을 찾아 뿌리를 내린 뒤에 연이어 성주 이씨, 제주 고씨, 남양 홍씨 일가가 이주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 마을 왼쪽으로 축현천이 흐른다. 원오류마을은 마을 앞 하천 제방에 수구막이 숲인 왕버들나무 군락지가 있어 오류촌(五柳村)이라 하였다고 한다. 마을 뒷편에 산이 있고 앞에는 축현천이 흐르고 있다.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후손인 성주 이씨(星州 李氏)가 많이 살고 있다. 매년 2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하고 재액(災厄)이 없기를 기원하는 당산제를 지내고 있는데, 여자들이 주축이 되어 제를 지내고 있다. 마정리 원오류 단속곳춤 당산제 특징은 제를 올리고 난 뒤에 벌어지는 굿판인 ‘단속곳’ 춤이다. 단속곳춤은 제를 끝낸 부녀자들이 단속곳을 벗어 머리에 뒤집어 쓰고, 바지통에 팔을 넣고 단속곳 자락을 들면서 추는 춤이다.

마정리의 교육 기관으로 보성초등학교가 있고, 문화유산으로는 일재 이항의 신도비가 있다. 마정리 중앙으로 지방도 제708호가 동서로 지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