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74
한자 丑峴川
영어공식명칭 Chukhyeoncheon River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북면|태인면|옹동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봉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축현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축현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축현리|백암리|북면 보림리|마정리|태인면 태남리|오류리|옹동면 산성리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23.8㎢[유역 면적]
길이 8.9㎞[유로 연장]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축현리 남쪽 싸리재에서 발원하여 칠보면, 북면, 태인면을 흘러 옹동면에서 동진강으로 합류하는 지방 하천.

[명칭 유래]

축현천(丑峴川)은 하천이 발원한 칠보면 축현리에서 명칭이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축현리(杻峴里)의 축현은 우리말로 ‘싸리재, 싸리고개’를 의미하는데, 축현리에서 칠보면 수청리로 넘어가는 고개의 이름이 싸리재이다.

[자연환경]

축현천칠보면 축현리 백화재에서 싸리재를 이은 능선 북쪽 사면의 골짜기에서 발원하여 동쪽의 보림천과 서쪽의 백암천을 합류하며 북쪽으로 흘러 옹동면 산성리 매정교 인근에서 동진강의 왼쪽 기슭으로 합류한다. 지류인 보림천은 북면 보림리 보림사 계곡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북면 마정리 마정교에서 축현천의 왼쪽 기슭으로 합류한다. 백암천은 칠보면 백암리 백화재에서 새울재의 능선 서쪽의 여러 계곡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모여 흐르다가 태인면 태남리 북쪽에서 축현천의 오른쪽 기슭으로 합류한다. 축현리의 축촌제, 신기제와 백암리의 원백제, 후원백제, 상백제를 비롯한 다수의 소류지가 주변 경지에 용수를 공급하고 축현천으로 흘러든다. 보림천 합류부로부터 하폭이 급격히 넓어지며, 유로가 하도 내에서 곡류할 정도로 평상시 유량이 많지 않은 편으로 보인다.

[현황]

축현천의 유역 면적은 23.8㎢이며, 유로 연장은 8.9㎞이다. 북면 소재지에서 칠보면 소재지를 동서로 연결하는 지방도 제708호가 북면 마정리 월촌교를 이루며 가로지른다. 월촌교에서 남쪽 축현리 방향으로 약 3㎞, 싸리재로부터 축현천을 따라 나란히 뻗은 축촌길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다가 축촌마을 조금 못 미쳐 동쪽으로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중 한 명인 최경선 장군의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북면 태곡리마정리 경계의 지방도 제708호 옆에는 전설을 간직한 두꺼비바위가 있으며, 두꺼비바위를 끼고 있는 삼거리에서 남쪽으로 약 5㎞를 이동하면 보림천 발원지 인근에 고려 시대에 창건되었다고 전하여지는 보림사가 있다. 보림사로 들어가는 길목에는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인 남고서원(南皐書院)이 있다. 칠보수력발전소에서 시작한 동진강 도수로와 무성리 교현교 뒤 동진강생태공원 옆 취입수문에서 시작한 동진강 도수로 보림지선이 지방도 제708호와 대체로 평행하게 동서 방향으로 백암천과 축현천 밑으로 지나간다. 축현천, 보림천, 백암천 상류부 산지 인근 도로 위로 교각을 높이 세운 농수로가 여러 군데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