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35
한자 中光里
영어공식명칭 Junggwa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중광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래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신천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신천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신천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신천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신천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2.42㎢
가구수 126가구
인구[남/여] 223명[남 116명|여 107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중광리(中光里)는 광조(光照)마을 내 자연 마을인 ‘가운데뜸’의 가운데 중(中) 자와 광조마을의 빛 광(光) 자가 합하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소정면(所井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광산리(光山里), 중광리, 소원리(所元里), 신광리(新光里)와 성포면(聲浦面) 원청리(元淸里), 상정리(上井里) 및 흥덕군(興德郡) 이동면(二東面) 작천리(鵲川里) 각 일부를 편입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중광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중광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중광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중광리는 국사봉의 서쪽 사면에 해당하며, 산록 완사면 또는 구릉지에 마을이 자리 잡고 있다. 광조제, 소원제, 광산소류지 등의 저수지가 있다. 중광리의 지형상 물길은 서쪽으로 흘러 소성천을 이룬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중광리의 면적은 2.42㎢이며, 인구는 126가구, 223명[남자 116명, 여자 107명]이다. 중광리소성면의 남단에 있으며, 동쪽으로 정읍시 입암면 마석리, 서쪽으로 용정리, 남쪽으로 입암면 지선리, 북쪽으로 등계리와 접하고 있다.

중광리의 마을에는 광조(光照)·신광(新光)·작천(鵲川)·원천(源泉)·광산(光山)이 있다. 광조마을은 고려 시대 향·소·부곡에 해당하는 황조향(荒調鄕)이 있었다고 한다. 광조마을은 국사봉 서쪽의 산록 완사면에 있고, 마을 앞에는 저수지가 조성되어 있다. 흥성 장씨 집성촌이다. 광조마을은 중심인 가운데뜸과 여기서 안쪽으로 떨어져 있는 양지뜸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사봉 아래에는 자생 차(茶) 밭이 있다. 광산마을은 행정 구역상 광조마을에 속한다. 신광마을은 국사봉 서쪽 기슭에 있다. 근래에 광조마을에서 분리되었기 때문에 새터라고도 부르며, 문화 유씨(文化 柳氏) 집성촌이다. 작천마을은 ‘깐치내’라고도 부르는데, 주변에 까치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시냇물 이름이 마을 이름으로 이어졌다. 마을 동북쪽 양씨 문중 산에는 약 18기의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다. 원천마을은 수원(水源)이 좋고 물맛이 좋은 우물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광산 김씨 집성촌으로 원청리(源淸里) 또는 원챙이로 부르기도 한다. 원천마을 앞에는 원천저수지[지선제]가 축조되어 있다. 원천저수지는 소성면, 성내면, 고부면 일대의 들판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 곳이기도 하다. 원천마을 동쪽에는 왕버들 당산나무가 있어 정월 대보름날에 당산제를 지냈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