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136 |
---|---|
한자 | 龍井里 |
영어공식명칭 | Yongjeong-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용정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래철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용산리(龍山里)의 용(龍) 자와 상정리(上井里)·하정리(下井里)의 정(井) 자를 따서 용정리(龍井里)라 하였다. 용정리는 다른 마을에 비하여 물 사정이 좋아 농사에 편리하였으며, 우물과 관계된 마을 이름이 많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성포면(聲浦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기동(基洞), 외동리(外洞里), 상정리, 하정리, 용산리와 대안리(大安里), 입석리(立石里), 계동(桂洞) 및 소정면(所井面) 신광리(新光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용정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용정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용정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용정리는 비산비야(非山非野)의 구릉지와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마을은 침수를 고려하여 구릉지에 자리하고 있다. 물길은 소성천을 이루며 북쪽으로 흐른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용정리의 면적은 2.31㎢이며, 인구는 79가구, 130명[남자 71명, 여자 59명]이다. 용정리는 소성면의 남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중광리, 서쪽으로 고창군 성내면 월성리, 남쪽으로 애당리, 북쪽으로 보화리와 접하고 있다.
용정리는 기정(基井)·외동(外洞)·용산(龍山)마을이 있다. 기정마을은 웃시암골[上井], 아랫시암골[下井], 텃말[基洞]의 이름을 조합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마을에는 3곳에 우물이 있었는데, 지금은 경지 정리로 인하여 메워지고 기정 우물만 남았다. 외동마을은 풍수지리상 천마가 바람에 갈기를 휘날리며 하늘로 날아가려는 형국인 천마시풍혈(天馬施風穴)이 있다고 한다. 외동마을은 창녕 조씨(昌寧 曺氏) 집성촌이다. 용산마을은 지형상 길게 뻗은 구릉지 끝에 마을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주변에 경작지가 넓고 농업용수가 풍부하여 농사짓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