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081 |
---|---|
한자 | 所聲川 |
영어공식명칭 | Soseongcheon River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소성면|고부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봉준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지선리 비룡산 서쪽 자락, 소성면 중광리 국사봉 서쪽 자락, 애당리 매봉산 북쪽 자락에서 발원하여 소성면, 고부면을 지나 고부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
[명칭 유래]
소성천(所聲川)은 하천이 주로 흐르는 소성면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자연환경]
소성천의 분수계는 소성면 경계와 대체로 일치한다. 정읍시 입암면 비룡산과 남산봉 사이 지선리 남쪽 경계 안쪽을 집수역으로 하는 원천저수지를 주 수원지로 한다. 소성면 중광리 국사봉 서쪽 사면의 물이 모인 광조제와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의 은동제가 함께 발원지 역할을 하고 있다. 전체적인 방향은 발원지에서부터 북서향하고 있으며, 원천저수지에서 시작한 물줄기가 북서향하다가 소성면 용정리에서 은동제에서 북향하는 물줄기와 합류하면서 북쪽으로 흐른다. 이후 부안천이 합류하면서 북서쪽으로 유로가 선회하는 동시에 고창군 성내면으로 잠시 이동하였다가 소성면 화룡리에서 다시 정읍으로 들어온다. 이후 만수천이 합류하면서 서-북서 방향으로 살짝 사행하면서 고부면으로 들어간다. 고부면 강고리와 백운리의 경계를 이루며 북서쪽으로 흐르다가 고부천의 지방 하천부에 유입된다.
[현황]
소성천의 유역 면적은 46㎢이며, 유로 연장은 12㎞이다. 지류로는 소성면 주천리 주동저수지에서 시작하는 부안천과 고부면 만수리 만수저수지에서 시작하는 만수천이 있다. 분수계 내에 작은 저수지들이 있어 유역 내 농경지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소성면 애당리의 모촌제, 중광리의 소원제·광산소류지, 보화리의 보화제, 등계리의 대성제·대동1제·대동2제·송악제, 신천리의 신천제, 고교리의 한정제, 화룡리의 구룡제 등이다. 소성면 고교리에서 고부면 백운리로 건너가는 지방도 제747호 종암교 인근을 곡구(谷口)로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수지상 하계망을 이루고 있으며, 직강화되어 유로 사행의 정도는 완만한 편이다.
소성천은 농업용수 공급을 담당하는 하천으로, 양쪽 기슭으로 구획 정리된 농경지가 펼쳐져 있으나 큰 하천인 고부천의 상류에 해당하는 하천이어서 인근 고부면이나 영원면의 하천 평야보다는 하천 양쪽 기슭에 농경지가 펼쳐진 정도가 덜한 편이다. 유역 동쪽으로는 두승산에서 태봉, 계동산, 국사봉, 비룡산 등 상대적으로 높은 산지가 분수계 역할을 하고 있으나 나머지 남쪽, 서쪽, 북쪽은 완만한 구릉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안천 합류부 남쪽 약 400m 인근에 국도 제22호가 소성교를 이루며 횡단한다. 하도 내에 치수를 위하여 부안천 합류부 북쪽 150m 지점의 조동갑문, 용정교 북쪽 100m 지점의 용정갑문, 중광제1새마을교 북서쪽 60m 지점의 애당갑문 등 갑문과 보가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