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142 |
---|---|
한자 | 立石里 |
영어공식명칭 | Ipseok-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입석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진우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입석리(立石里)는 마을 앞에 입석(立石)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1789년(정조 13)의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고부군 남부면 입암리(立巖里)가 기록되어 있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고부군 남부면 신장리(新場里), 성촌(星村), 입석리, 진장리(鎭將里), 만화리(萬化里)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 입석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적인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입석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입석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입석리는 두승산 남서쪽에 자리한 농촌 마을이며, 땅을 파면 끝없이 작은 돌들이 나온다고 한다. 이러한 환경 때문에 다른 곡식 생산이 어려워 뽕나무를 많이 심어 누에 생산이 활발하였다. 돌이 많이 나오는 마을의 특성으로 인하여 돌담길이 많은 마을이기도 하다. 입석마을 뒤편에 입석1제와 입석2제가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입석리의 면적은 3.03㎢이며, 인구는 135가구, 227명[남자 113명, 여자 114명]이다. 입석리는 고부면의 동남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정읍시 흑암동, 서쪽으로 덕안리, 남쪽으로 덕안리, 만수리, 북쪽으로 남복리와 접하고 있다. 입석리는 입석마을, 예천마을, 성촌마을의 3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입석리 뒤편으로 두승산성 서문지로 올라가는 초입에 황토현푸른터수련원이 있어 관광 산업에 도움이 되고 있다. 마을 뒤로 입석터널이 뚫리고 국도 제29호가 이설되어 기존 도로는 교통량이 줄어들었다. 입석리는 이웃한 덕안리 진선마을과 함께 정읍을 대표하는 축산 단지로 낙농업이 활발하였다. 입석리 반래언덕 일원에서는 추석 전후로 ‘두승산청정메밀꽃축제’가 열린다. ‘눌제풍년제’를 시작으로 귀성객과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농경 체험과 문화 공연이 펼쳐진다. 문화유산으로는 두승산성[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과 유선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