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199 |
---|---|
한자 | 泰昌里 |
영어공식명칭 | Taechang-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진우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태인면 소재지로서 행정과 상업의 중심지이나 더 번창하라는 뜻으로 태창리(泰昌里)라 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군내면(郡內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신기리(新基里), 용정동(龍井洞), 청석동(靑石洞), 오리(五里), 육리(六里), 십리(十里), 십일리(十一里), 거산리(居山里), 내이리(內二里)와 고부군 벌미면(伐米面) 덕촌(德村), 화천리(花川里), 회룡리(回龍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태창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정주시와 정읍군이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피향정 남쪽에 연지(蓮池)인 태창제(泰昌堤)가 있다. 태창리는 동쪽 경계 너머 성황산[태인면], 서쪽 경계 너머 멀리 덕재산, 정토산이 보인다. 태창리의 서쪽에는 동진강[태인천]이 남북으로 흐르며, 대각교와 거산교가 있다. 태창리는 대체로 평야지에 자리하고 있다. 정읍 피향정 남쪽에 5그루의 느티나무가 띠를 이룬 낮은 구릉이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태창리의 면적은 2.62㎢이며, 인구는 381가구, 650명[남자 315명, 여자 335명]이다. 태창리는 태인면의 서쪽 중앙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태성리, 서쪽으로 정우면 화천리, 남쪽으로 태서리, 북쪽으로 낙양리와 접하고 있다.
태창리는 육리마을, 태산마을, 기지내마을, 용신마을, 시기마을, 샘들내아파트 등 6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샘들내아파트는 2001년도에 건축되어 183세대가 한 마을을 이루고 있다. 기지내마을은 성황산 서쪽에 있는 마을로 평지에 자리하고 있어 주변으로 넓은 들녘이 펼쳐져 있으며, 수리 시설이 발달되어 논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시기마을은 1990년 10월 태산마을에서 분리되었다. 시기마을은 교통의 요충지이고, 5일·10일에 태인시장이 열리는 곳이다. 또한 1919년 3월의 기미 독립 만세 운동이 벌어진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태인면사무소가 정읍 피향정 북쪽의 대각정 자리[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101-2]에 있다가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육리마을에는 흥덕집이라는 고택이 있어 천석꾼 김 부자가 살았으며 현재 흥덕집 자리에 원광어린이집이 있다. 정읍 피향정 건너편에 태인극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주차장이 건설되었고 피향정문화관광해설사 사무실이 자리하고 있다.
태창리는 공공 기관과 시설로 태인면사무소와 태인보건지소, 태인터미널이 있고, 태인청년회의소, 영조생모숙빈최씨만남의광장이 대각교 북쪽에 있다. 체육 시설로 태인성황축구장과 태인게이트볼장이 있다. 주요 문화유산으로 정읍 피향정[보물], 신잠비[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함벽루(涵碧樓), 이로비(移路碑), 열녀 창녕 성씨 정려가 있다.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만능 국악인 전계문(全桂文)도 태창리 출신이다. 교육 기관으로 공립 대안 중학교인 전북동화중학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