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35 |
---|---|
한자 | 長錦里 |
영어공식명칭 | Janggeum-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장금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허인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장검산(長劍山) 밑의 지역이라 ‘장검산’ 이름과 비슷하게 장금리(長錦里)라 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산내이변면(山內二邊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시동(市洞), 종암리(鍾岩里), 신기리(新基里), 평내리(坪內里), 백필리(白弼里), 사리(四里), 청동(淸洞)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장금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장금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장금리가 되었다.
1803년(순조 3)에 제작된 「산내이변향약안(山內二邊鄕約案)」에는 너듸[板北里]·가오리(加五里)·신오리(新五里)·평내리(坪內里)·박필리(朴必里)·신기리(申基里)·수침동(水站洞)이, 『1872년 지방지도(一八七二年 地方地圖)』「태인현지도(泰仁縣地圖)」에는 너듸[大四升]·평내(坪內)·수침(水砧)·박필리(朴必里)·너듸장[四升市]·상하건전(上下件田)이,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년]에는 너듸[四里]·상평(上坪)·중평(中坪)·평신(坪新)·종암(鍾巖)·백필리(百弼里)·청동(淸洞)·봉림동(鳳林洞)·가오치(加五峙)·시동(市洞)·신기(新基)가, 『정읍군지』[1936년]에는 장금리에 너듸[사승리(四升里)]·평내리(坪內里)·수침동(水枕洞)·청동(靑洞)·백필리(白必里)가, 『태인지』[1965년]에는 너듸[사승리(四升里)]·수침동(水沈洞)·평내(坪內)·백필리(百弼里)가,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장금리에 시동(市洞)·종암리(鍾巖里)·신기리(新基里)·평내리(坪內里)·백필리(百弼里)·청동(淸洞) 일부·사리(四里)[태인군 산내이변면]가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자연 마을 가운데 한 곳인 너듸마을은 한자로는 1872년 「태인현지도(泰仁縣地圖)」에는 ‘사승(四升)’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 집에 콩 한 개 씩을 거두니 네 되가 나왔기 때문에 ‘너되’로 불렸다고 하는 구전이 전하고 있다. 하지만 1803년에 쓰인 「산내이변향약안」에는 ‘판북리(板北里)’로 기재되어 있으며, 이보다 앞선 『고대일록(孤臺日錄)』의 1606년 12월 기록에 ‘판후촌(板後村)’으로 기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를 보면 풍수지리상 널판 뒤에 있는 형국인 까닭에 널뒤마을로 불리다가 발음이 편한 너듸마을로 불리게 된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자연환경]
장금리는 종석산과 오두봉이 둘러싸고 있으며, 섬진강댐의 완공 후 만들어진 옥정호를 마주하고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장금리의 면적은 11.21㎢이며, 인구는 101가구, 208명[남자 106명, 여자 102명]이다. 장금리의 마을로 장금1리에 너듸마을, 장금2리에 수침동마을, 장금3리에 평내, 백필마을이 있다. 평내마을 앞에 장금보건진료소가 있다. 국도 제30호가 수침동마을 앞을 지나 장금리의 북쪽 지역을 지나가며, 옥정교차로에서 지방도 제729호가 연결되어 평내마을과 백필마을 앞을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