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인지』[1965]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56
한자 泰仁誌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65년연표보기 - 『태인지』[1965]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간행처 태인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지도보기
성격 향토지
편자 양창성|임삼택|김종원|임형규|이용진|홍인표|송흥섭|이희산
표제 泰仁誌 全

[정의]

1965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의 유림들이 편찬한 향토지.

[개설]

『태인지』[1965]는 1965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에서 유림들이 정읍 지역의 역사, 지리, 인물 등을 세세히 정리하여 편찬한 향토지이다. ‘태인’이라는 지명은 1409년(태종 9) 고려 시대의 태산군(太山郡)[또는 태산군(泰山郡)]과 인의현(仁義縣)을 합치면서 만들어졌다.

[편찬/간행 경위]

『태인지』[1965]태인면 지역이 조선 초기부터 약 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항상 『정읍지』에 속하여 기록이 전하여졌기에 태인 지역만의 향토지로 간행하였다. 태인 지역에는 최치원(崔致遠)[857~?], 신잠(申潛)[1491~1554], 정극인(丁克仁)[1401~1481] 등의 유학자들이 있었고, 을사늑약(乙巳勒約)[1905] 이후 최익현(崔益鉉)[1833~1907], 임병찬(林炳瓚)[1851~1916] 등이 의병을 일으킨 곳이었다.『태인지』[1965]는 1965년에 태인향교 전교(典校)[향교를 관리하는 직원]인 권오봉이 주도하여 집필진들과 함께 5년에 걸쳐 각 집안의 문집을 비롯하여 시중에 돌아다니는 노래까지 수집 및 조사하여 제작하였다.

[서지적 상황]

『태인지』[1965]의 발행처는 태인면이며, 집필진은 양창성, 임삼택, 김종원, 임형규, 이용진, 홍인표, 송흥섭, 이희산 등이다. 발행일은 1965년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태인지』[1965]의 판형은 가로 18.3㎝, 세로 28.6㎝이며, 1책 3권, 총 334쪽으로 구성되었다. 표제는 ‘泰仁志 全’이다.

[구성/내용]

『태인지』[1965]의 순서는 서문, 발문, 범례, 목록 및 제1권, 제2권, 제3권, 임원록 등의 순으로 구성되었다. 제1권은 한국지리총설(韓國地理總說), 국명방언(國名方言), 국조역대(國朝歷代), 군계(郡界), 지세(地勢), 산악(山岳), 하천(河川), 평야(平野), 지연보(池沿洑), 도로(道路), 교량(橋梁), 제언(堤堰), 읍면동리(邑面洞里), 각면지목별면적(各面地目別面積), 기후(氣候), 호구관공서(戶口官公署), 시장물산(市場物産), 명승고적(名勝古跡), 수재인(守宰人), 향교(鄕校), 선성세계도(先聖世系圖), 문묘역사(文廟歷史), 향교구재산(鄕校舊財産), 단묘(壇廟), 원사(院祠), 부조묘(不祧廟), 비(碑), 사각(寺刻), 학교(學校), 병원(病院), 문화기관(文化機關), 누정대각당제(樓亭臺閣堂齋) 순으로 서술되었다. 제2권은 세가(世家), 총묘(塚墓), 정려(旌閭), 효열비(孝烈碑), 계사(稧社), 제영(題詠) 등으로 구성되었다. 제3권은 후비(后妃), 유현(儒賢), 호당(湖堂), 남대(南臺), 명신(名臣), 명신(名宦), 청백리(淸白吏), 생진(生進), 문과(文科), 무과(武科), 수직(壽職), 학행(學行), 유일(遺逸), 유행(儒行), 문행(文行), 충절(忠節), 충의(忠義), 절의(節義), 효행(孝行), 효열(孝烈), 현원(賢媛), 화가(畫家), 자선(慈善), 공적(功績), 선행(善行), 문망(聞望), 학위(學位) 등으로 구성되었다.

[의의와 평가]

『태인지』[1965]에서는 평야를 17개로 구분하였고, 56개의 보와 47개의 연못, 6개의 저수지 등을 표기하였고, 한문으로 모든 내용을 기록하였다. 서문의 권두에는 “공자탄강(孔子誕降) 2516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임원록에 도유사, 부유사, 감동, 감인 등의 용어가 기록된 것으로 미루어 향교와 관련된 인물들이 주로 책을 편성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태인에 있던 전라인쇄소를 비롯하여 칠보, 신태인, 태인, 화호극장 등을 문화 기관에 포함시켜 기록하였다. 세가(世家)의 내용이 118쪽으로 가장 많으며, 유교 이념에 따른 충절과 효를 숭상하는 고을의 정체성을 보여 주는 항목들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