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38 |
---|---|
한자 | 禮德里 |
영어공식명칭 | Yedeok-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예덕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허인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상례동(上禮洞), 하례동(下禮洞)에서 예(禮) 자, 원덕리(元德里)에서 덕(德) 자를 따서 예덕리(禮德里)라 하였다. ‘상례’와 ‘하례’의 명칭과 관련하여서는 배례동(拜禮洞) 또는 보리밭으로 불리는데, ‘배례동’이라는 명칭은 마을 뒤편에 군신봉조의 혈이 있다는 왕자산이 있어, 예를 올리는 예절 바른 주민이 살고 있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산내이변면(山內二邊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원덕리, 상례동, 하례동을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예덕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예덕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예덕리가 되었다.
「산내이변향약안(山內二邊鄕約案)」[1803년]에는 원덕리(元德里)가, 『1872년 지방지도』[태인현]에는 원덕(元德)·홍문(紅門)이 기재되어 있다. 『정읍군지』[1936년]에는 예덕리에 웃보리밭[上禮德里]·가운데보리밭[中禮德里]·아랫보리밭[下禮德里]·홍문리(紅文里)·원덕리(元德里)·구사교리(舊沙橋里)가, 『태인지』[1965년]에는 웃보리밭[上禮]·가운데보리밭[中禮]·아랫보리밭[下禮]·원덕(元德)의 자연 마을이 기재되어 있다. 1973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웃보리밭과 가운데보리밭이 예덕1리로, 아랫보리밭이 예덕2리로, 원덕과 흥문이 예덕3리로 분리되었다.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예덕리에 원예리(元禮里)·상례동(上禮洞)·하례리(下禮里)[태인군 산내이변면]가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왕자산이 동쪽 하례마을 뒤에 있다. 왕자산에는 군신봉조혈(君臣奉朝穴)이 있다고 한다. 기행현(奇幸鉉)[1843~?]이 1866년부터 1911년까지 약 45년 간 자신의 일상 및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홍재일기(鴻齋日記)』에도 삼태봉을 안산으로 삼으니, 진짜 군신봉조혈이라고 할 만하다는 언급이 보인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예덕리의 면적은 6.53㎢이며, 인구는 93가구, 147명[남자 69명, 여자 78명]이다. 자연 마을로는 예덕1리의 상례마을, 예덕2리의 하례마을, 예덕3리의 원덕마을이 있다. 예덕리의 중앙으로 지방도 제715호가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