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44 |
---|---|
한자 | 平沙里 |
영어공식명칭 | Pyeongsa-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평사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허인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평동(平洞)의 평(平) 자와 사평리(沙平里)의 사(沙) 자를 따서 평사리(平沙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사평리, 하성리(下城里), 신천리(新川里), 평동, 용두리(龍頭里) 각 일부와 산외이변면 운전리(雲田里), 노은리(老隱里), 척곡리(尺谷里)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산외면 평사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평사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평사리가 되었다.
『1872년 지방지도』[태인현]에는 노은(老隱)·척곡(尺谷)이,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년]에는 산외일변면에 사평(沙平)·평동(平洞)·용두(龍頭), 산외이변면에 노은(老隱)·성산(城山)·척곡(尺谷)이, 또 『정읍군지』[1936년]에는 사평리(沙平里)·평동(坪洞)·신천리(新川里)·하성리(下城里)·운전리(雲田里)·노은리(老隱里)·척곡리(尺谷里)가, 『태인지』[1965년]에는 운전(雲田)·평동(平洞)·노은(老隱)·평사(平沙)·신촌(新村)이,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평사리에 사평리(沙坪里)·하성리(下城里)·신천리(新川里)·평동(平洞)·용두리(龍頭里)[태인군 산외일변면] 각 일부, 운전리(雲田里)·노은리(老隱里)·척곡리(尺谷里)[태인군 산외이변면]가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평사리 앞쪽으로는 평사천이 흐르고 있으며, 서쪽 경계부에 독계봉이 있고 동쪽으로 촛대봉이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평사리의 면적은 4.56㎢이며, 인구는 190가구, 340명[남자 164명, 여자 176명]이다. 평사리는 산외면의 남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정량리, 서쪽으로 오공리, 남쪽으로 산내면 예덕리, 북쪽으로 동곡리와 접하고 있다.
평사리의 마을로 노은(老隱)마을, 운전(雲田)마을, 평사(平沙)마을, 신촌(新村)마을이 있다. 산외면의 면소재지로 산외면사무소가 있으며, 산외파출소, 정읍산외우편취급국, 산외보건지소 등이 자리하고 있다. 민족 대표 33인 중 한 명인 박준승[1865~1927]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2019년 11월 개관한 박준승 기념관이 있다. 교육 기관으로 산외초등학교가 있다. 평사마을 남쪽에는 삼국 시대에 축조된 평사리 산성이 있다. 평사리 산성은 평사리 동남쪽 1㎞ 지점의 척곡마을 앞산인 독계산에서 북쪽으로 내려가다가 Y자형으로 골짜기를 형성한 자봉을 감고 있다. 평사리는 지방도 제49호가 평사리의 북쪽으로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