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51
한자 長明洞
영어공식명칭 Jangmyeong-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장명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장명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30년 12월 26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장명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장명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31년 4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장명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장명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1년 7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장명리에서 전라북도 정주시 장명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주시 장명동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장명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장명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장명동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면적 0.35㎢
가구수 377가구
인구[남/여] 671명[남 312명|여 359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조선 후기 『1872년 지방군현지도』[정읍현]에 ‘장명(長明)’이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장명리(長明里)라 한 데서 장명동(長明洞)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정읍현 군내면(郡內面)에 속하였으며, 정읍현의 관아인 동헌, 객사, 향청, 향교 등이 있는 읍치(邑治)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입석리(立石里), 씨교리(氏橋里), 장명리(長明里), 상경리(上京里), 하경리(下京里), 입모리(笠帽里), 동내리(洞內里)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장명리로 개설되었다.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개칭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장명리로 개편되었다.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정주읍(井州邑)으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장명리로 개편되었다. 1981년 7월 1일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주시 장명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읍군정주시가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장명동으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장명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장명동은 북에서 남으로 산지와 평야로 구분된다. 성황산[수성동]에서 내려오는 산지가 장명동 면적의 절반을 차지한다. 남쪽의 평야 지대는 정읍천에 의하여 형성된 하안단구라고 볼 수 있다. 산지가 끝나는 정읍향교정읍동초등학교는 비교적 높은 단구면이, 남쪽으로 조곡천2길까지를 경계로 낮은 단구면이 층을 이루고 있다. 조곡천2길은 서쪽으로 시기동의 조곡천1길과 연결되는 것으로 미루어 과거 정읍천의 지류였을 것으로 보인다. 장명동의 산지에는 말고개공원과 충혼탑 등이 세워져 있고, 충장로까지의 높은 단구면에는 정읍향교와 대덕사 및 정읍동초등학교 등이, 그리고 조곡천2길까지의 낮은 단구면에 장명동의 나머지 시가지가 대부분 분포되어 있다.

[현황]

2023년 5월 장명동의 면적은 0.35㎢이며, 인구는 377가구, 671명[남자 312명, 여자 359명]이다. 장명동은 동쪽으로 구룡동, 서쪽으로 수성동, 남쪽으로 시기동, 북쪽으로 수성동과 접하고 있다. 행정동 장명동은 법정동인 장명동, 구룡동상동 일부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장명동에는 공공 기관으로는 정읍경찰서, 장명동행정복지센터가 있고, 교육 기관으로는 샘고을중학교, 정읍동초등학교가 있다. 또한 정읍의 주산이자 진산인 성황산(城隍山)[수성동]을 등지고 있다. 1398년(태조 7)에 창건된 정읍향교가 있어 과거 읍치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고, 현재에도 지역민들의 자긍심을 높여 주고 있다. 정읍경찰서 인근에는 정읍 9경 중 하나인 쌍화차 거리가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장명동정읍시청 방면에서 연결되는 충장로와 말고개공원 방면과 연결되는 정읍북로가 정읍동초등학교 앞에서 교차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