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60 |
---|---|
한자 | 蓮池洞 |
영어공식명칭 | Yeonji-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진성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연지리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30년 12월 26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연지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연지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31년 4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연지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연지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1년 7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연지리에서 전라북도 정주시 연지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주시 연지동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연지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연지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으로 개편 |
성격 | 법정동 |
면적 | 1.70㎢ |
가구수 | 3,005가구 |
인구[남/여] | 5,871명[남 2,902명|여 2,969명]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연지동(蓮池洞)은 옛날에 연못[연지(蓮池)]이 있어서 만들어진 지명이다. 연지동은 예나 지금이나 교통의 요지로 고려 이후 연지원(蓮池院, 또는 迎支院)이 있어 교통에 이용되어 왔으며, 지금도 연지원(蓮池院)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정읍현(井邑縣) 군내면(郡內面)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연지리(蓮池里), 죽지리(竹池里), 서외리(西外里) 각 일부가 병합되어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연지리로 개설되었다.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개칭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연지리로 개편되었다.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정주읍으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연지리로 개편되었다. 1981년 7월 1일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주시 연지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저 전라북도 정읍시 연지동이 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남으로는 정읍천이 죽지봉과 망상봉 아래로 굽이쳐 흐르고, 북동쪽으로는 수성동과 경계가 되는 두락봉의 산지가 에워싸고 있다. 연지동은 정읍천이 형성한 범람원 지역에 해당되어 대부분 벼농사 지역이었으나, 정읍역이 연지동의 서쪽에 치우쳐 조성되면서 정읍시청이 위치한 동쪽으로 시가지가 확대되었다. 정읍역의 좌측은 농업용 토지가 대부분이다.
[현황]
2023년 1월 현재 연지동의 면적은 1.70㎢이며, 인구는 3,005가구, 5,871명[남자 2,902명, 여자 2,969명]이다. 연지동은 정읍 시가지의 서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수성동, 서쪽으로 하모동, 남쪽으로 상평동, 시기동, 북쪽으로 농소동과 접하고 있다.
행정 기관으로 연지동주민센터가 전라북도 정읍시 조곡천1길 5[연지동 252-152]에 있고, 주민 편의 시설로 정읍우체국과 연지아트홀이 있다. 교육 기관으로 정읍서초등학교가 있다. 연지동은 호남선의 철도역인 정읍역과 정읍고속버스터미널이 있다. 정읍역에서 시내로 연결되는 중앙로가 동서를 연결하고 있고 연지동의 남북을 연결하는 서부로가 터미널 사거리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고속도로 인터체인지에서 정읍 시가지로 진입하는 초입에 해당하고 교통 여건이 좋아서 상업적인 경제 활동이 활발하며, 연지시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