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96 |
---|---|
한자 | 湖南高速鐵道 |
영어공식명칭 | Honam High Speed Railway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대성 |
준공 시기/일시 | 2015년 4월 2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9년 6월 - 호남고속철도 광주송정역-고막원역 구간 개통 |
현 소재지 | 호남고속철도 -
정읍역
![]() |
성격 | 도로 |
전화 | 1544-7788 |
[정의]
서울특별시 용산역에서 정읍역을 거쳐 광주송정역, 목포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
[개설]
호남고속철도는 용산역에서 오송역, 익산역, 정읍역을 거쳐 광주송정역, 목포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다. 전북특별자치도를 남북으로 지나며 정읍역에 정차한다. 정읍역을 지나는 호남고속철도가 2015년 4월 2일 개통됨에 따라 서울에서 광주광역시까지 이동 시간은 1시간 33분, 서울에서 목포까지 이동 시간은 1시간 46분으로 단축되었다.
[건립 경위]
경부 축과 함께 대한민국의 양대 축인 서해안 축 개발에 따른 수송 수요 증가에 대처하고 지역 균형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서울목포 고속철도 건설을 추진하게 되었다.
[변천]
호남고속철도는 2009년 착공에 들어가 2015년 4월 2일 1단계인 오송역에서 광주송정역 구간을 개통하였다. 2단계인 광주송정역에서 목포 구간 가운데 광주송정역에서 고막원역 구간 고속화 공사는 2019년 6월 완료하여 개통하였다. 호남고속철도는 행신역부터 오송역까지는 기존 경부고속철도 노선을 그대로 이용한다. 2단계 구간은 기존 광주송정역에서 목포역에서 무안국제공항 경유로 노선이 변경되어 사업이 진행 중이다. 광주송정역, 무안국제공항역, 목포역 완전 개통은 2025년 예정이다.
[분기역 논란]
호남고속철도는 수도권 및 충청도 일부 구간은 경부고속철도를 이용하다 분기하여 독자적인 노선을 이용하는 것으로 계획되고, 분기역 후보로 천안아산역, 오송역, 대전역이 후보에 올랐다. 경부고속철도 건설 당시에는 천안아산역을 분기역으로 잠정 설정하였으나 오송역 주변에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창산업과학단지가 조성되며 국가적으로 오송역 일대가 중요하게 되었다. 호남권에서는 당초 천안아산역 분기를 가장 희망하였으나, 중앙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오송역에서 공주역 구간까지 전액 국비로 건설하는 것을 전제로 오송역이 최종 분기역으로 결정되었다.
[구성]
호남고속철도는 행신역, 용산역, 광명역, 천안아산역, 오송역, 공주역, 익산역, 정읍역, 광주송정역까지는 고속선으로 이용하다 이후 구간인 나주역, 목포역은 기존 호남선을 이용한다. 2025년 호남고속철도 2단계 공사가 완료되면 광주송정역, 무안국제공항역, 목포역 구간이 고속선으로 신설되어 운행될 예정이다.
[현황]
2021년 현재 호남고속철도 연간 이용 인원은 244만 2958명이며, 일평균 이용 인원은 1만 4949명이다.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선에 이어 3번째로 이용객이 많다.